본문 바로가기

조직 이야기

커뮤니케이션의 합리화에 저항한 인물_체스터 바나드(3)

체스터 바나드(Chester Irving Barnard, 1886~1961)는 조직의 보편적 요소를 세 가지로 압축해서 설명했습니다. 그것은 

첫째, 공동의 목적
둘째, 협력의지
셋째, 커뮤니케이션입니다.

첫째 요소인 공동의 목적은 효율성을 공학적으로 잘못 해석함으로써 왜곡되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공학적 효율성이란 투입산출의 비율로서 궁극적으로는 이윤입니다. 이윤에 공헌하는 것은 효율적인 것이고 그렇지 못한 것은 비효율적인 것입니다. 오늘날 모든 것을 숫자로 표현하게끔 세상은 점점 바뀌어가고 있습니다. 숫자는 중립적이지 않습니다. 숫자는 무서운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둘째 요소인 협력의지도 또한 숫자로 전환되었습니다. 인간의 행위를 경제적 가치로 환원하여 자본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는 자본으로 바꾸었습니다. 공동의 목적을 향하여 인적 자본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할 것인가의 문제로 변환되었습니다. 위대한 경제학자와 수학자들이 모여서 합리적인 계량모델을 만들어 자본시장을 공략했지만 인간의 행위는 합리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고, 그들이 탄 거대한 배, LTCM는 침몰하고 말았습니다.


이 작은 책에 담긴 사상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됩니다!


 

명확성과 헌신

 

오늘은 셋째 요소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조직 내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은 더 강조할 필요가 없을 정도입니다. 그럼에도 커뮤니케이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바나드는 커뮤니케이션에서 어떤 것을 강조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첫째, 커뮤니케이션의 경로가 명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어디다 대고 말해야 하는지가 명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내가 30년간의 직장생활에서 발견한 것은 그게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인사고과를 하는 조직도에 상사와 부하 사이가 명백한데, 뭐가 문제냐고 할지 모르지만, 비공식 통로가 워낙 많고, 연줄로 엮여 있어서 이것을 잘 꿰뚫지 않으면 조직에서 살아 남기 힘듭니다. 부하는 어따 대고 말해야 하는지를 눈치껏 잘 알아야 본전을 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커뮤니케이션의 왜곡이 그래서 일어납니다.

 

둘째, 커뮤니케이션에서는 권위의 문제가 개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의 경로가 명확하지 않아서 왜곡이 일어나기 때문에 보완되어야 할 것이 권위의 문제입니다. , 모든 구성원은 누군가에게 보고해야 하고, 누군가의 부하가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바나드는 책의 상당부분을 권위의 문제에 할애하고 있습니다. 권위의 원천과 조직 내의 조정시스템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이 문제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셋째, 커뮤니케이션은 가능한 한 직접적이어야 하며, 그 라인도 짧아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간접적이고 길면 내용이 오염되거나 왜곡될 가능성이 그만큼 커지기 때문입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오류와 오해가 없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바나드는 이것 말고도 몇 가지 원칙을 더 얘기하고 있으나, 거듭거듭 강조하는 것은 명확성입니다. 명확해야 한다는 것이죠. 그것은 구성원들간에 서로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어야 하며, 그것을 통해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헌신을 끌어 내야 함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바나드의 커뮤니케이션에서 배울 교훈은 명확성(clarity)과 헌신(commitment)입니다. 이 두 가지가 미국식 경영의 합리화 과정에서 또 다시 왜곡되었습니다. 왜곡되는 과정은 아주 간단합니다. 명확성을 확보하는 것은 숫자로 말하면 됩니다. 그리고 헌신은 쪼면 되는 것입니다. 그것도 숫자로 쫄 수 있다면 금상첨화겠지요. 숫자로 쪼아라! 이것이 미국식 경영의 핵심입니다. 그래서 나는 미국식 경영을 Screwing by Number(SBN)라고 부릅니다.

 

숫자로 말하라! 이것이 현대 경영의 화두입니다. 모든 커뮤니케이션에서 숫자와 숫자의 조합인 그래프는 필수입니다. 정확성과 헌신을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숫자는 정말 힘이 있습니다. 사람을 흥분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운동선수가 공을 잡기 위해 자기 몸을 사리지 않는 것은 그곳에 숫자판(scoreboard)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어떤 사물이 어떤 척도로 숫자화되는 순간, 그 척도 이외의 모든 가치는 삭제됩니다. 숫자의 치명적인 약점이 바로 이것입니다. 예를 들어 내가 만든 물건이 10,000원에 거래된다면 그 안에 무슨 내용이 있는지, 어떤 철학이 내포되어 있는지, 그리고 어떤 사연이 묻어 있는지는 상관없습니다. 오로지 10,000원어치의 가치만 있을 뿐, 나머지 모든 가치는 사라지거나 삭제됩니다. 만약 이효리가 입던 옷의 가치는 어떨까요? 경매에 부치면 얼마가 나올까요? 1,000? 아니면 십만 원? 어떤 가격이 나오더라도 그 가격 이외의 어떤 가치도 사라집니다. 일단 숫자가 결정되면, 그 숫자 이외의 어떤 가치도 삭제됩니다.

 

영업사원에게 10억 원의 매출목표가 할당되고 나면, 그 외의 모든 가치는 사라지거나 생략되는 것도 이와 같습니다. 요즘은 병원에서도 각 진료과의 수입을 정교하게 원가계산을 해서 수익공헌도를 계산합니다. 각 과장에게는 그 수익공헌도를 얼마까지 높이도록 압력을 받습니다. 환자의 회전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됩니다. 의사는 환자가 환자로 보이지 않고 돈으로 보입니다. 교수들은 논문 몇 편을 발표하고 유명저널에 게재하도록 압력을 받습니다. 몇 편의 논문을 발표했느냐가 중요합니다. 평가지표에서 고려하는 수치 이외의 다른 가치는 전혀 고려하지 않게 됩니다.

 

각급 학교의 학력도 숫자로 표시됩니다. 최근 이 숫자가 발표되었습니다. 앞으로 지역과 학교의 우열이 가려질 것입니다. 그러면 그 숫자의 힘 앞에 학부형들은 또다시 무릎을 꿇을 것입니다. 부모의 빈부에 따라 아이들의 빈부는 점점 더 심해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합니다. 이것은 아이들을 살리는 교육이 아니라 서서히 죽이는 교육이 될 것입니다. 우둔한 권력자일수록 숫자를 통해 경쟁시킴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내가 숫자에 빠져드는 이유

 

숫자가 얼마나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는지, 내 경험을 통해 잠시 얘기해보죠. 나는 작년 10월부터 이 블로그를 시작했습니다. 지금 막 6개월이 된 셈입니다. 블로그를 하려고 맘 먹은 것은 세 가지 목적에서였습니다.

 

첫째, 내 강의를 들은 학생이나 직원들과의 장기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마련하는 것

둘째, 내 사유세계와 그 결과물들이 사회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는 것

셋째,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들을 비교적 차분하게 기록하는 것

 

처음에는 카페를 만들까, 싸이월드를 할까 하다가 블로그를 만들었습니다.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만드는 과정에서 고생을 했지만, 블로그의 세계를 차츰 이해하면서 보람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숫자입니다. 이 블로그의 오른쪽 아래에 보면, 카운터 모듈이 있습니다. 방문자 숫자가 떡 찍힙니다. 어제는 몇 명, 오늘은 몇 명, 전체 몇 명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처음에는 10여명이었는데 요즘은 몇 백 명 수준으로 올라갔습니다. 늘 관심을 가지고 있던 신지애 선수에 대해 글을 썼더니 어떤 날은 몇 천명이 한꺼번에 몰려 오기도 했습니다.

 

나중에서야 안 일이지만, 방문자 수에 따라서 광고수입도 얻을 수 있답니다. 그래서 방문자 수를 늘리기 위해서 혈안이 된 블로거들도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호객행위로 방문자를 끌어 모으기도 합니다. 호객행위는 아니어도 자극적인 제목을 뽑으면 많은 사람들이 방문합니다. 하지만, 파워블로그라고 해도 광고를 달아봐야 수입은 대부분 껌 값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왜들 방문자 수에 목을 매는 걸까요? 그게 숫자이기 때문입니다. 숫자가 우열을 가린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숫자는 결코 가치중립적이지 않습니다. 더 큰 숫자가 더 힘이 세고, 더 매력적이고, 크면 클수록 좋고,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심지어 숫자가 클수록 더 옳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렇다 치고, 나는 어떻게 됐을까요? 이 블로그는 당초의 목적을 잘 달성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놈의 숫자입니다. 매일, 오늘은 방문자가 몇 명인가 하고 들여다 봅니다. 숫자가 많으면 기분이 좋아지지만 숫자가 내려가면 별로입니다. 방문자수를 늘리려면 어찌해야 하는지, 숫자가 큰 소위 파워블로그도 들어가 봤습니다. 이 숫자를 올리기 위해 자극적인 제목을 뽑아 볼까, 사회적으로 뜨거운 이슈들을 다루어볼까, 여러 가지 생각들이 머리를 스쳐갔습니다.

 

내가 블로그를 시작한 당초의 목적을 잘 달성하고 있는데, 나는 왜 방문자수에 연연해 하는 걸까? 내가 내 자신에 물었습니다. 광고를 하는 것도 아니고, 방문자수가 많아진다고 내게 당장 유리한 어떤 것이 주어지는 것도 아닌데, 왜 자꾸 방문자수에 신경이 쓰이는 걸까? 방문자수가 많아져 봐야, 깨알같이 쓰인 내 글에는 관심이 별로 없고, 사진이나 여행기에 주로 관심을 갖고 있다는 걸 알고 있으면서도, 숫자가 내겐 아무 의미가 없다는 걸 알고 있으면서도 왜 자꾸 방문자수에 마음이 쓰이는 걸까? 나도 잘 모르겠습니다. 블로그에 들어가면 우선 숫자부터 봅니다. 이렇게 나도 숫자에 중독되어 가는가 봅니다.

 

왜 그럴까? 다른 이유가 없습니다. 그냥 거기 숫자가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이 숫자로부터 초연해지는 것은 매우 힘든 일입니다. 우리 대부분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숫자의 힘에 노예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숫자에 쪼임 당하는 현대인과 바나드

 

이렇게 현대인은 숫자에 쪼임을 당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은 쪼임을 통해서는 온전한 헌신을 끌어낼 수 없다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쪼임은 오직 긴장상태를 유발할 뿐이기 때문입니다. 긴장상태에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합니다. 모든 운동의 기초는 몸의 긴장을 푸는 것입니다. 긴장이 풀려야 좋은 성적을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에 있어서도 마음의 긴장이 풀려야 제대로 할 수 있습니다.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커뮤니케이션인데, 오히려 숫자로 긴장시키고 있습니다.

 

조직운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입니다. 체스터 바나드는, 커뮤니케이션은 명확해야 하고 구성원의 헌신을 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위대한 사상은 테일러리즘의 숫자광풍에 휩쓸려 피어나지 못하고 말았습니다. 안타깝게도 역사의 흔적으로만 남게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바나드의 사상을 오늘에 되살려야 할 시점입니다.

 

 

P.S.  바나드의 사상은 이 정도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성과급과 같은 첨예한 문제뿐만 아니라 의사결정메커니즘에서도 예지를 발휘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다음 기회에 언급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