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이야기

치료란 무엇인가(2)_가다머의 경우

오늘날 암을 치료하고 연구하는 사람이 암환자보다 더 많은데도, 암환자는 점점 늘어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의사의 전유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는 경우는 사실상 그리 많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 이외에 다른 대안이 없기 때문에, 환자는 의사를 찾습니다. 그렇지만, 의사의 치료행위에 의해 낫기도 하고, 낫지 않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환자에 대한 실존적 이해는 치료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야스퍼스의 사유는 오늘날까지도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환자의 병력기록도 중요하지만, 그가 살아온 전체를 이해하는 것은 의사의 치료행위에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야스퍼스의 사유는 의사가 환자를 여전히 치료의 대상으로 간주한다는데 있습니다.

 

인간이 인간을 대상을 본다는 것은 인간을, 무엇을 위한 존재로 수단화하는 셈이 됩니다. 예를 들어, 맹장염에 걸린 환자는 맹장수술의 대상이 됩니다. 맹장수술이 목적이 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맹장염환자는 치료의 대상이 됩니다. 이런 논리가 확장되면, 모든 인간은 질병이라는 못된 것을 가지고 있는 치료대상으로 전락됩니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질병이 없는 인간은 아무도 없기 때문입니다. 인간이 겪는 고통은 질병에서 오는 고통보다, 인간이 단순한 대상이나 수단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겪는 고통이 훨씬 더 큽니다.

 


관점을 바꿔서 인간을 대상이 아닌 목적으로 볼 수는 없을까? 질병과 아무 상관없이 인간의 존재 자체가 목적이 되게 할 수는 없을까? 설사 질병이 있더라도 그 질병을 가진 인간의 존재 자체를 목적으로 생각할 수는 없을까? 그 가능성을 우리는 한스-게오르그 가다머(Hans-Georg Gadamer, 1900~2002)의 해석학을 통해 엿볼 수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책 『진리와 방법』(Wahrheit und Methode)에서 놀이(Spiel)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놀이하는 사람이 놀이하는 데에 전적으로 몰두할 때에만, 놀이함은 그 목적을 실현하게 된다. 놀이가 전적으로 놀이가 되게 하는 것은 놀이로부터 벗어나 있는 진지성과의 관계가 아니라 오직 놀이에서의 진지성이다. 놀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은 놀이를 망치는 사람이다. 놀이의 존재방식은 놀이하는 사람이 놀이를 대상처럼 대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놀이하는 사람은 놀이가 무엇이라는 것, 그리고 그가 행하는 것이 다만 놀이일 뿐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 놀이의 주체는 놀이하는 사람이 아니고, 놀이는 놀이하는 사람을 통해서 단지 표현될 뿐이다.”
(
한스-게오르그 가다머, 이길우 외 옮김, 진리와 방법, 문학동네 2000, 190-191)

 

도대체 놀이가 뭐 어쨌다는 말인가? 가다머에 의하면, 놀이는 놀이에 참여하는 사람으로부터 독립된 제3의 영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누군가 놀이에 참여함으로써 놀이가 성립되지만, 놀이는 놀이로서 독립된 세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놀이는 참여자의 진지한 몰입을 통해서만 성립됩니다. 놀이의 하나로서 고스톱을 예로 들어보죠. 고스톱에 참여하는 사람이 고스톱에 몰입하지 않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관찰하고 있다면, 오히려 그 놀이로서의 고스톱은 망치는 것이 됩니다. 사방치기, 바둑, 테니스 등 모든 놀이가 동일합니다. 놀이에서는 어떤 위계구조도 거부합니다. 놀이 참여자는 동등합니다. 그래야 놀이가 놀이로서 성립합니다. 나는 가다머의 이런 통찰을 위대한 발견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이 놀이의 개념을 치료에 적용시켜 보겠습니다. 의사는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치료라는 제3의 중립영역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환자도 의사에게서 치료를 받는 것이 아니라, ‘치료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의사와 환자는 함께 치료에 참여함으로써 동등한 주체와 주체의 만남이 가능하게 됩니다. 의사는 자신의 전문성을 진지하게 치료의 중립지대에 내어놓고, 환자도 마찬가지로 자신의 질병을 진지하게 치료의 장에 내어 놓음으로써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의사와 환자가 치료에 몰입할 때, 온전한 치료가 됩니다. 치료는 어느 누구도 독점할 수 없으며, 어느 누구에게도 속하지 않습니다. 환자와 의사는 치료의 영역에서 서로 대화를 통해 실존적으로 만납니다. 치료는 대화를 통해 서로에게 영향을 줍니다. 의사는 환자가 내어 놓은 실존적 체험으로부터 자신의 온전함을 얻게 되고, 환자 역시 의사가 진지하게 내어 놓은 실존적 체험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치유(healing)의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그러므로 의사와 환자는 치료를 통해 온전함에 이릅니다.

 

이렇게 대등한 입장에서 주체와 주체의 만남을 통해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온전한 치료가 가능할 것입니다. 의사와 환자 사이에서 힘의 격차로 불균형하게 찌그러진 관계가 지속된다면 오히려 치료를 망치게 됩니다. 놀이에 참여한 사람들이 서로 대등한 관계가 아닌 경우에 놀이가 망가지듯이 말입니다.

 

치료에서 환자와 의사가 대등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아마도 모든 인간은 야스퍼스가 말한 온전함에 이르고자 하는 욕망’(Ganzwerdenwollen)이라는 본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온전함 또는 온전성(Ganzheit)를 지향하고 있으니까요. 여기서 "온전함"으로 번역된 간츠하이트(Ganzheit)는 일반적으로 자주 쓰이는 독일어의 독특한 용법입니다. 온전함은 완전성이나 완벽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전체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어딘가에도 상처가 없는(unverletzt) 또는 상해되지 않은 전체라고나 할까요.

 

이 개념을 경영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화와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리더십에 말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실존적으로 평등합니다. 그렇게 주장합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전혀 평등하지 않은 상태에 시달립니다. 모든 인간은 힘의 격차에 의해 고통 당합니다. 여기서 인간의 온전함은 훼손됩니다. 대화와 커뮤니케이션에서 상사와 부하는 결코 대등하지 않습니다. 부하는 자신의 실존적 체험을 있는 그대로 말할 수 없습니다. 상사는 그것을 듣고 싶어하지도 않습니다. 부하는 성과를 내는 자원 또는 수단으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목적을 향해 부하를 끌든 밀든 앞으로 나가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의사가 환자를 치료의 대상으로 보아 고통을 제거하듯이 말입니다.

 

리더십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나는 30년 직장생활을 통해 지금까지 여러 종류의 리더십 훈련뿐만 아니라 코칭과 같은 유사 리더십훈련과정에도 참가해 보았습니다. 자격증이나 수료증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 과정을 통해서 나의 리더십이 좋아지거나 바뀌었을까요? 어떤 영향을 받았을까요? 물론 전혀 영향이 없었다고 말할 수 없겠지만, 별로 큰 영향을 받지 못했습니다. 리더십에 관한 지식을 조금 더 쌓았을 수는 있습니다. 아마도 이것은 리더십훈련과정에 참여해 본 다른 사람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여기서 얻는 지식은 실존적 이해가 아닙니다.

 

그래서 나는 리더십을 타인에 대한 영향력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인간은 누구나 타인이 자신에게 직접적으로 어떤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한다면, 거부감을 갖게 됩니다. 자신이 그 영향력을 좋게 생각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자기 스스로 내면에서 끌어 오르는 힘에 의해 어떤 일을 해 나갈 때, 엄청난 폭발력을 갖게 됩니다. 다른 사람의 영향력에 의해 자신이 어떤 행동을 한다면, 그것은 진정한 의미에서 주체적 자발성이라고 볼 수 없겠죠. 어떻게든 강제된 것이니까요. 강제하지 않으면서 스스로, 자발적으로 행동하도록 하는 좋은 방법은 없을까요?

 

상사와 부하가 '리더십'이라는 제3의 영역에서 자신의 실존적 체험을 내어 놓고 대화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다머가 말하는 '놀이'처럼 말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상사와 부하가 얼굴과 얼굴을 맞대는 대화를 상상할 수 있습니다. 이 대화의 장, 리더십의 장을 통해 부하는 물론 상사도 자신의 영혼을 일깨워, 직업에서뿐만 아니라 삶 전체에서 생기를 찾게 됩니다. 대화가 우리를 살립니다. 대화를 통해 온전함에 이르는 '치료'가 가능하듯이, '리더십'도 대화를 통해 온전히 이루어집니다. 그러므로 리더십이란 리더십의 장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에게 생명을 불어넣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