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 이야기/BSC

균형 잡힌 성과지표체계(Balanced Scorecard, BSC)의 의도하지 않은 폐해들(2)

BSC에 관한 글을 쓰려고 오래 전부터 생각해 왔지만 막상 쓰려고 하면, 내가 잘 아는 패키지공급업자들과 컨설턴트들이 눈앞에 아른거려서 못쓰고 있었습니다. 소위 BSC전문가라는 분들도 잘 알고 있습니다. 나는 그들과도 인간적으로 친한 사이입니다. 그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주저하고 있었습니다. 이들의 질문은 대략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1.  계량화 하지 않고 어떻게 기업경영을 한단 말인가? 측정할 수 없다면 관리할 수 없다고 하지 않았는가?

2.  올바른 KPI를 찾지 못하는 것이 문제이지, KPI로 관리하겠다는 것을 문제 삼는 것은 올바른 접근이 아니지 않은가?

3.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려면 전략을 세워서 강력하게 추진해도 될까말까 한판에 무슨 영혼이니 실존이니 씨나락 까먹는 소리를 하는가?

 

미국 경영학의 역사에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신 분이라면, 캐플란의 BSC개념이 드러커의 MbO를 테일러리즘으로 둔갑시킨 것이라는 점을 금새 알아챘을 것입니다.



 

캐플란과 노튼의 주요 저작들

나는 계량화를 반대하지 않습니다.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 KPI)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현실에서 벌이지는 일은, 계량화와 KPI가 인간의 정신을 지배하고 나아가 철저히 통제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타율적으로 말입니다. 그래서 나는 조직구성원들이 KPI의 노예로 전락되고 있는 현실을 우려하는 것입니다. 우리 사회는 지금 구소련에서 그 폐해가 입증된 집단농장식 관리방법 BSC개념을 통해 도입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이것이 구소련에서처럼 무자비하게 내려 찍는 방식이 아니라, 서서히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스마트하게 진행된다는 표면적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나는 이것이 뒤바뀌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것입니다. 인간의 정신이 숫자를 지배하도록 해야지, 숫자가 인간을 지배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인간의 정신을 고양하고 나면, 누구나 스스로 어떤 사물과 현상이 어떤 지표로 어떻게 관리되는 것이 좋은지를 알게 된다는 말입니다. 그렇게 되려면 조직에 매력적인 비전(compelling vision)이 있어야 합니다. 조직에 매력적인 비전을 불어넣는 리더십을 발휘할 능력이 없는 경영진들은 숫자로 쪼는 방식이 가장 쉽고 가장 효과가 있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그래서 숫자로 쪼는 방식의 관리(Screwing by Number)를 반복하는 것이죠. 나는 실무에서 거의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 KPI)라는 그물을 씌워서 그 틀에 가둬버리는 현상을 수없이 봐 왔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관리하라는 말인가? 혹시 여러분의 가정에는 어떤 규정이나 KPI로 가족구성원을 관리하고 있습니까?

 

적어도 우리 집에는 그런 것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에서 모두들 자신의 역할을 잘 해내고 있습니다. 자신의 재능을 최대한 발휘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매순간 고민하면서 행동하고 있습니다. 아무런 규정도 없고 성과지표로 관리하지 않는데도 말입니다. 각자 자기역할을 알아서 합니다.

 

집에서는 그렇게 하는 사람들이 직장에 가면 왜 그렇게 많은 규정과 성과지표의 틀로 옭죔을 당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뭔가 이상하지 않습니까? 기업에서 각종 규정과 성과지표를 설정하기 전에, 그게 왜 필요한지 그 이유를 먼저 설명해야 할 것입니다

 

그 이유가 명백해진다면, 다시 말해 매력적인 비전이 있다면, 인간은 누구나 의미 있는 숫자를 스스로 만들어 냅니다. 학생은 목표하는 성적을 위해 공부하게 될 것입니다. 세일즈맨은 원하는 매출목표를 스스로 정하고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을 실천해 갈 것입니다. 학자는 구체적인 연구목표를 세우게 됩니다. 예술가는 언제까지 어떤 작품을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내겠다는 계산을 하게 됩니다. 숫자는 이때 비로소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서 쓰이는 숫자는 그 의미가 다릅니다. 위로부터 강제로 배분된 숫자와는 완전히 다른 숫자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을 보세요. 매력적인 비전을 상실한 채, 처벌에 대한 두려움이나 당근에 대한 탐욕에 시달립니다. 대부분의 기업에서 당근과 채찍의 타율적인 통제에 순응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BSC가 그 도구로서 아주 잘 활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이 개념을 만든 사람들이 그런 의도를 가지고 있지는 않았을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기업에서는 그렇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내 눈에는 공산주의 집단농장체제와 다를 것이 거의 없어 보입니다.

 

로버트 캐플란(Robert S. Kaplan) 교수와 데이비드 노튼(David P. Norton) 박사는, 인간이 영혼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실존적 존재라는 사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그들이 고안한 BSC개념은, 마치 비행기조종사가 코크핏(cockpit)에서 비행고도와 항로를 조절할 수 있듯이, 경영진 몇몇 사람이 조직구성원들의 행동을 원하는 방향으로 통제하거나 조작할 수 있다고 믿게끔 하고 있습니다. 컨설턴트들은 실제로 그렇게 말합니다! 

그들은 인간을 재무제표의 당기순이익을 위한 자원으로 보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조직구성원을 인적자원(human resource) 또는 인적자본(human capital)이라고 부릅니다. 인간이 곧 자본인 셈이죠. 인간은 돈이라는 숫자로 전환되어 관리됩니다. 인간이 대상이고 수단이고 자원입니다. 그래서 인간을 통제하고 조작하는 통계적 기법과 공학적 방법을 만들어내는 것에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습니다.

 

계량화와 합리화의 대가로 일생을 살아왔던 로버트 맥나마라(Robert McNamara, 1916~)90세를 앞두고 생애 말년에 가서야 기자들의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합리성이 우리를 구원하지 않는다”(Rationality will not save us.)

The Fog of War: Eleven Lessons From the Life of Robert S. McNamara, 2003 참조


정교하게 합리화된 도구로 인간의 정신을 통제하려는 캐플란 교수와 노튼 박사의 노력에 경의를 표하지만, 그렇게 하면 할수록 인간의 정신은 합리성에서 멀어진다는 것을 말하고 싶습니다. BSC는 올바른 인간관에 기초했을 때 비로소 그 진가를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