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신자유주의 시장경제(10)_ 개신교 장로들에게 묻습니다

우리나라는 기독교 장로가 두 번이나 대통령을 했고, 이번이 세 번째인데 그 때마다 나라는 점점 갈등과 불안, 정신적 공황상태에 빠져들고 있습니다

소외된 백성들과 가난한 사람들에게 돌아갔어야 할 몫을 줄여서, 그 몫보다 더 많은 것을 부자들에게 돌려주었습니다. 부자들이 내는 종합부동산세를 깎아주었기 때문입니다. 그러자 나라의 재정이 힘들어졌습니다.
세금을 어디선가 더 걷어야 하는데, 이번에는 농어촌 백성들에게 혜택을 주었던 각종 세금감면을 폐지하려고 하는 모양입니다. 농어촌 사람들에게서 더 많은 세금을 거두어들이려는 것이지요. 여기서 통계숫자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얼마가 더 가고 덜 가고는 중요하지 않다는 말입니다. 중요한 것은 정신이니까요.

 

부자들의 세금부담이 이토록 적은 나라에서 부자들에게 매기는 종부세마저 징벌적 조세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과연 영혼이 있는 사람인지 짐승인지 모르겠습니다.

 

자본주의 사회라고 말할 때의 자본과 재무제표상 자본계정의 자본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자본주의 사회는 어떠한 경우에도 재무제표상의 자본을 추구하는 이념체계입니다. 다시 말하면, 자본주의란 자본계정을 무한히 확대시켜 가는 이념입니다. 그러므로 자본의 논리는 자본 그 자체가 끝없이 증식하도록 돕습니다. 자기증식을 끝없이 반복하는 세포를 의학적으로는 암세포라고 합니다. 오늘날 자본의 논리는 암세포처럼 이 세상에 널리 퍼져있습니다. 이 암세포에 의해 인간의 공동체 정신이 죽어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것을 칼 폴라니는 악마의 맷돌이라고 했습니다.

 

가난한 사람들도 이명박 정부에 많은 기대를 했습니다. 그런데 그는 왜 가난한 사람들의 몫을 빼앗아 부자들에게 넘겨주는 것일까요? 옳고 그름을 분별하지 못할 정도로 우둔하기 때문도 아니고 마음씨가 나쁘기 때문도 아닙니다. 그는 지금 악마의 맷돌인 자본의 논리에 빠져 있고, 거기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제 개신교 장로들에게 묻습니다. 여러분은 자본의 제자인가요, 아니면 예수의 제자인가요? 예수를 팽개치고 자본을 따르기로 했다면, 더 이상 할 말이 없습니다. 그러나, 조금이라도 예수의 가르침에 귀 기울일 의향이 있다면 다음의 가르침을 읽어보기 바랍니다.

 

하늘나라는 자기 포도원에서 일할 일꾼을 고용하려고 이른 아침에 집을 나선 어떤 포도원 주인과 같다. 그 주인은 하루 품삯으로 1데나리온을 주기로 하고 일꾼들을 포도원으로 보냈다. 오전 9시쯤 돼 그가 나가 보니 시장에 빈둥거리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는 그들에게 너희도 내 포도원에 가서 일하라. 적당한 품삯을 주겠다라고 했다. 그래서 그들도 포도원으로 들어갔다. 그 사람은 12시와 오후 3시쯤에도 다시 나가 또 그렇게 했다.

 

그리고 오후 5시쯤 다시 나가 보니 아직도 빈둥거리며 서 있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는 왜 하루 종일 하는 일 없이 여기서 빈둥거리고 있느냐?’고 물었다. 그들은 아무도 일자리를 주지 않습니다고 대답했다. 주인이 그들에게 말했다. ‘너희도 내 포도원에 와서 일하라고 말했다.

 

날이 저물자 포도원 주인이 관리인에게 말했다. ‘일꾼들을 불러 품삯을 지불하여라. 맨 나중에 고용된 사람부터 시작해서 맨 처음 고용된 사람까지 그 순서대로 주어라.’ 오후 5시에 고용된 일꾼들이 와서 각각 1데나리온씩 받았다. 맨 처음 고용된 일꾼들이 와서는 자기들이 더 많이 받으리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각 사람이 똑같이 1데나리온씩 받았다.

 

그들은 품삯을 받고 포도원 주인을 향해 불평했다. ‘나중에 고용된 일꾼들은 고작 한 시간밖에 일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하루 종일 뙤약볕에서 고되게 일한 우리와 똑 같은 일당을 주시다니요?’ 그러자 포도원 주인이 일꾼 중 하나에게 대답했다. ‘여보게 친구, 나는 자네에게 불의한 것이 없네. 자네가 처음에 1데나리온을 받고 일하겠다고 하지 않았나? 그러니 자네 일당이나 받아가게. 나중에 온 일꾼에게 자네와 똑같이 주는 것이 내 뜻이네. 내가 내 것을 내 뜻대로 하는 것이 정당하지 않은가? 아니면 내가 선한 것이 자네 눈에 거슬리는가?’

 

이처럼 나중 된 사람이 먼저 되고 먼저 된 사람이 나중 될 것이다.”

(마태복음 20 1~16)


 

예수의 이 위대한 가르침은, 자본의 논리를 따르는 사람에게는 도저히 해석하기 어려운 대목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지금 포도원에 일하러 맨 나중에 온 사람들이 아주 많습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 쌍용자동차에서 해고통지를 받은 근로자들, 택배운송기사 등 부지기수로 많습니다. 그뿐이 아닙니다. 아예 노동할 수 없는 상황에 빠진 사람들도 바로 우리 이웃에 있습니다. 포도원에 불려오지도 못한 사람들 말입니다.

 

예수는 바로 그들에도 똑 같은 몫을 주라는 가르침을 인류에게 남겼습니다. 19세기의 위대한 사상가 존 러스킨(John Ruskin, 1819~1900)은 바로 이 비유를 가슴에 담고, 애정이 없는 경제학은 인류를 패망의 길로 인도한다고 일깨워주었습니다. 인간의 삶을 규정하는 것은 돈이 아니라 영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랑은 영혼의 능력이 뿜어내는 힘입니다. 사랑이 얼마나 강력한 힘인지 우주에 작용하는 모든 힘을 모조리 무효로 만들어버리는 위대하면서도 신비로운 힘입니다. 이 힘은 포도원의 주인처럼 『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Unto this last, 존 러스킨, 김석희 옮김, 느린걸음 2007) 똑 같은 임금을 지급하도록 했습니다. 변호사 모한다스 간디는 러스킨의 책을 읽고 마하트마 간디로 변했습니다. 위대한 영혼이 된 것이죠. 러스킨의 이 책을 읽고 간디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 책을 한번 읽기 시작하자 놓을 수가 없었다. … 나는 그날 밤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나는 내 생활을 그 책의 이상에 따라 변경하기로 결심했다. … 내 생애에 즉각적이고도 실천적인 변화를 가져다 준 것이 바로 『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이다.”

 

그래서, 간디는 20세기가 낳은 가장 위대한 지도자가 되었습니다. 개신교 장로들이여, 나는 여러분이 간디와 같은 위대한 지도자가 되기를 원하는 게 아닙니다. 여러분이 진정으로 개신교 장로라면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따라 살기를 바랄 뿐입니다.

 

 

그래서 러스킨은 묻습니다. 나중에 온 일꾼들에게도 똑 같은 품삯을 주어서 과연 포도원이 망했을까요? 오히려 더 흥했습니다. 세상의 이치와 반대로 가는 사람이 흥하게 되어 있습니다. 미국식 자본주의와 미국식 경영이 세상의 이치처럼 보이지만, 이런 악마의 맷돌인 자본의 논리를 거부한 북유럽의 여러 나라는 오히려 이 위기의 시대에 구원의 노래를 부르고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다음과 같은 가르침을 그대로 따랐기 때문입니다.

 

너희는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 위해 힘쓰라.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많은 사람들이 그곳에 들어가려 하겠지만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누가복음 1324) 누구든지 자기 생명을 구하려고 하는 사람은 잃어버릴 것이요, 누구든지 나와 복음을 위하여 자기 생명을 버리는 사람은 구할 것이다.(마가복음 835)

 

이 위대한 가르침을 받아서, 사도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에게 다음과 같이 편지합니다.

 

형제 자매 여러분, 내가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서 가진 내 자랑인 여러분을 두고 단언합니다만, 나는 날마다 죽습니다.”(고린도전서 1531)


 

어떤 조직이든지 바울의 가르침대로, 그 조직의 지도자가 매일 죽어야 합니다. 개신교 장로들이 날마다 죽어야 교회가 살고, 국가가 살아납니다.

 

개신교 장로들이여, 여러분은 악마의 맷돌인 자본의 논리를 따르겠습니까? 아니면 사랑의 복음인 예수의 가르침을 따르겠습니까? “나중에 온 이 사람들이 여러분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관련된 글

  • 2009/06/19 존 러스킨_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