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신자유주의 시장경제(13)_피도 눈물도 없이 경영하라

주주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 돈을 버는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억압과 착취의 그늘에서 고통 받고 있는지에 대해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 1912~2006)은 눈을 감았습니다. 기득권층이 사회적 약자를 어떻게 착취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없습니다.

 

경영컨설팅회사인 보스턴컨설팅그룹(Boston Consulting Group, BCG)의 창업자인 브루스 헨더슨(Bruce Henderson, 1915~1992)도 프리드먼의 생각과 같았습니다. 헨더스는 영리를 추구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좋은 것이 경쟁이라고 했습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어떤 업계에서든 경쟁에서 가장 앞서가는 기업이라 하더라도 그 자신의 시장점유율을 계속해서 늘려나가야 한다. 이렇게 하지 못한다는 것은 결국에는 경쟁에서 지고 있다는 증거이다. … 기업들의 시장점유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서는 안 된다. 저비용을 강점으로 내세우는 경쟁자들은 고비용의 경쟁자들을 물리쳐야 한다. 그리고 비용절감을 이루어낸 기업은 물론이고 소비자들 역시 낮아진 가격으로 인한 혜택을 누려야 한다. 비용을 절감하고, 이를 통해 상품 판매 가격을 낮췄음에도 시장점유율이 늘어나지 않는 것은 뭔가 중대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지 스토크, 로브 라케나워, 김원호 옮김, 피도 눈물도 없이 경영하라, @북스 2005, 13~14)


 

당연한 귀결이지만, 이런 사상은 곧바로 다음과 같은 전략을 가지게 됩니다. 컨설팅회사들은 자신의 고객들에게 서로 경쟁하도록 부추겼습니다. 그리고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방법을 가르쳤습니다. 오늘날 미국계 컨설팅회사는 기본적으로 이런 사상을 따르고 있습니다. BCG의 컨설턴트인 조지 스토크와 로브 라케나워에 의하면, 기업이 법령을 어기는 것이 아니라면,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의 유형에는 제한이 없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전략이 효과적이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1.     단번에 강력하게 공격하라

2.     변칙적인 전략을 구사하라

3.     경쟁자의 핵심 수익기반에 위협을 가하라

4.     경쟁자의 방식을 이용하라

5.     경쟁자를 힘든 길로 유인하라

6.     파격적으로 관행을 깨뜨려라

 

이런 전략을 활용하는 기업가를 하드볼 플레이어(Hardball Player)라고 했습니다. 하드볼 플레이어, 즉 피도 눈물도 없이 이익을 추구하는 자는 자기 자신에게만 이익을 거두는 것이 아니라, 전체 경제에 이익을 준다는 것입니다.

 

하나의 산업뿐만 아니라 전체 경제에 이익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전체 경제에 효율성을 제고하고, 시장을 더 깨끗하게 만들고, 시장에 속해 있는 모든 기업을 더 강하게 만들고, 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는다고 합니다. 하드볼 플레이어로 인해 제품과 서비스에 일대혁신이 일어나고, 제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내려가며, 이로 인해 고객들 역시 더 큰 만족감을 갖게 된다고 주장합니다. (조지 스토크, 로브 라케나워, 김원호 옮김, 피도 눈물도 없이 경영하라, @북스 2005, 19~20쪽 참조)

 

미국사회를 휘감고 있는 이러한 신자유주의 이념은 자유경쟁을 통해 이익을 최대한 창출하는 것입니다. 이익을 창출하는 목적은 주주의 이기심을 충족하기 위한 것입니다. 탐욕은 좋은 것이다! 이것이 미국식 자본주의의 명령입니다.

 

자본주의는 개인적 탐욕을 충족시키는 과정에서 규제 없는 자유로운 시장을 통해 성장해 왔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자본주의는 자유가 신장되었기 때문에 성장한 것이 아닙니다. 지난 200년의 자본주의 역사를 살펴보면 자유를 빙자한 억압과 협박, 공포와 착취가 숨어 있었습니다. 오늘날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면, 용산참사가 그것을 보여줍니다.

 

미국의 부시대통령이 충격과 공포라는 작전명으로 이라크를 침공하여 자유로운 시장질서에 편입시키려 했던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자유로운 시장메커니즘을 통한 자본주의적 질서 이면에는 억압과 핍박이 숨어 있습니다.

 

이런 충격과 공포의 전략이 자유로운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어떻게 작용해왔는지에 대한 검토는 나오미 클라인(Naomi Klein, 1970~)의 쇼크 독트린(The Shock Doctrine, 살림Biz 2008)에서 충분히 했습니다. 프리드먼의 자문을 받은 국가들이 사회적 약자들을 돕고 있는 공공부문을 민영화함으로써 구조조정을 통한 대규모 해고와 공공서비스 가격의 폭등을 경험했습니다. 규제 없는 시장경제메커니즘을 도입하여 피도 눈물도 없는 경쟁체제를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한 국가 내에서 경제정책이 어떤 식으로 펼쳐지는지 살펴보면 신자유주의 이념이 스며드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문동 재래시장을 방문했던 이명박 대통령의 돌발영상을 보시기 바랍니다. 생각 같아서는 재래시장을 대형마트로 싹 쓸어버리고 싶은데도 그렇게 말할 수는 없으니까 계속 얼버무리고 있습니다. 그래도 계속해서 재래시장 상인들이 대형마트 때문에 너무 어렵다고 하소연하자, 재래상인들에게 인터넷으로 거래를 하도록 조언합니다. 세상에! 나는 할 말을 잃었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은 자신들이 무능하기 때문에 그렇다고 생각하게끔 유도합니다. 대형마트에 대항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왜 내지 못하느냐고 다그칩니다. 자신이 예전에 길거리에서 장사할 때는 하소연할 데도 없었지만 아이디어를 내고 열심히 일해서 성공했다는 말을 해 주고 싶었을 것입니다. '너희들도 나처럼 따라해라' 그런 말을 해주고 싶었는지도 모릅니다. '대형마트와 경쟁해서 살아남아라' 그런 말을 하고 싶었을 것입니다. 
그래도 하소연할 데라도 있으니까 옛날보다 좋아진 것 아니냐고 합니다.


대기업들은 피도 눈물도 없이 경영합니다. 재래상인들이 대기업에게 당해낼 재간이 없습니다. 내 생각 같아서는 청주 육거리 시장처럼 아케이드형 재래시장을 조성해서 상인들이 장사를 할 수 있도록 했으면 합니다.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신자유주의 방식이 아니어도 얼마든지 대기업과 중소상인들이 서로 윈윈하는 장사방법이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