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필요성
학생들의 성적이 곧 사회생활에서의 개인적 성공이나 사회적 성취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중등교육과정까지 매우 우수한 학교성적을 냈던 학생들이 소위 일류대학에 선발되어 고등교육을 거쳐 사회적으로 높은 성취를 이루거나 개인적으로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과의 상관관계가 명확하지 않다. 이것은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의 경우도 비슷하다. 학교 성적이나 지능지수가 사회생활에서의 업무성과와 개인적 성공여부를 예측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중등교육에서 고등교육으로 진학할 때, 선발의 준거를 종래와 같이 학교성적 위주보다는 장기적 성취와 상관성이 높은 요인을 찾아, 그 요인을 선발의 중심에 놓는 것이 보다 합리적일 것이다. 그렇게만 된다면, 그것은 고등교육뿐만 아니라 중등교육까지도 일대 혁신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물론 요즘 고등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각 대학에서는 단순히 학교 성적만을 가지고 학생들을 선발하지는 않는다. 학교생활기록부를 참조하는 내신과 면접, 과외활동이나 대외 수상경력 등과 같은 요인들을 학생선발에 고려한다. 대학당국에서도 단순한 지적 영역 이외의 정서적 영역과 사회적 성취능력 등을 감안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 일환으로 최근에는 입학사정관제도를 도입하여 입학사정관에 의해 학생들의 성적뿐만 아니라 면접 등으로 선발하려는 추세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세는 여전히 중등교육의 학업성취도인 성적 위주로 학생들을 선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입학사정관제에 의한 전형의 경우에도 학생당 면접시간은, 학교마다 다르긴 하지만, 대개 10여분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입학사정관들도 짧은 면접시간으로 학생들을 제대로 변별할 수 없음을 잘 알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어쩔 수 없는 한계가 있다고 고백한다. 결국은 서류상으로 표현된 것, 즉 ‘스펙’이 입학에 거의 절대적인 기준이 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양대학교에서 국내 최초로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대학수준의 과학영재들을 위한 특화 교육프로그램인 “Honors Program in Sciences & Engineering”(이하 HP로 약칭)을 운영하게 됨으로써, 장기적으로 높은 과학적 업적을 낼 수 있는 과학영재를 어떻게 선발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했다. 이것은 한양대학교만의 문제라기보다는 학생선발에 관한 한 한국 고등교육에서의 전반적이고도 뜨거운 이슈이기도 하다.
대학교육의 가장 중요한 성패요인의 하나는 학생선발이다. 고등교육을 받아 장래에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학생을 뽑아 교육시켜야만 사회적 낭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사회에 공헌할 잠재력을 갖지 못한 학생을 고등교육대상자로 뽑을 경우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게 될 뿐 아니라, 잠재력을 갖춘 학생이 의외로 고등교육에서 배제되는 이중의 사회적 낭비를 초래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에서 대학에서의 학생선발이 중요하다. 어떻게 선발하느냐에 따라 중등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이 수능시험 위주로 뽑으면 중등교육은 수능대비위주의 교육이 되고, 본고사 위주의 선발방식으로 바뀌면 본고사를 위한 준비교육으로 전락하는 것이 현실이다. 만약 대학이 어떤 형식으로든지 지덕체를 겸비한 인재를 선발하는 방식으로 바꾼다면, 이를 중등교육의 목표로 삼을 것이다. 숭고한 중등교육의 목표가 나름대로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중등교육의 목표가 대학입시제도에 종속되어 왔다.
이런 관점에서, 고등교육기관들은, 형태가 여러 차례 바뀌긴 했지만, 객관식 문제해결력이라는 수능점수에 의한 학생선발 방법을 고수해 왔다. 이것의 문제점은 오로지 ‘점수의, 점수에 의한, 점수를 위한’ 기형적 중등교육을 낳았다는 데 있다. 그런데 이런 점수 위주의 선발방법은 장기적으로 학생들의 학문적 성장과 인격적 성숙을 오히려 방해한다. 인간의 인지적, 정의적 능력에는 시험성적과 같이 계량화할 수 있는 영역도 있지만, 타인에 대한 가치와 신념, 신뢰와 존중, 애정과 배려의 마음이나 영성과 같은 계량화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 이렇게 계량화되기 어려운 영역이 인간의 인격적 성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교육에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객관화의 어려움 때문에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는 공교육은 점점 피폐하게 되고 내신 성적 또는 수능점수위주의 사교육 열풍이라는 부작용을 가져왔다.
모든 평가결과가 점수로 환원되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학생들을 서열화해야 할 필요는 더욱이 없다. 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학생의 능력과 성향, 그리고 계량화하기 어려운 내면의 역량을 진단하여 적절한 곳에 배치하는 방법이 오히려 더 정확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아직도 인간의 재능을 점수로 환원하여 서열화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면 이문열은 몇 점이고 이외수는 몇 점인지 말해야 할 것이다! 인간의 재능을 어찌 점수로 표현할 수 있겠는가? 물론 점수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겠지만, 성적점수 이외의 다양한 정성적 요소들을 감안하여 학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제도적 전환이 시급하다. 독일을 비롯한 유럽의 교육선진국들을 보면 더욱 명백해진다. 그들의 교육 및 학생선발 과정을 보더라도 고등교육기관에서의 학생선발 방법은 근본적으로 혁신되어야 할 것이다.
독일에서 5년, 한국에서 7년, 아일랜드에서 3년, 영국과 미국에서 각각 4년씩 아이들에게 초등, 중등, 고등교육을 시켜 본 필자의 경험에 의하면, 선진교육에서는 학생들의 잠재력과 역량에 대한 교사의 관찰추천이 상급학교 진학과 배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저학년일수록 그 영향력은 거의 절대적이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과 성적의 중요성이 증가하지만, 학생들의 잠재력과 역량에 대한 교사의 판단과 그 중요성은 결코 줄지 않는다.
연구의 목적
이런 점에서 영재들을 선발하는 방법으로 역량중심의 선발시스템(Competency-based Selection System)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 이 시스템은 기업에서 인재를 선발하고 육성하는 데 주로 활용되는 방법론이다. 이것을 과학영재 학생선발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 방법론을 세우고, 그것을 선발에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점검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여기서의 서술은 주로 한양대학교 Honors Program의 운영 경험을 기반으로 한다.
첫째, 인생의 장기적 성취를 예측할 수 있는 핵심적인 역량의 개념과 그 역량요소를 명확히 한다.
둘째, 과학영재들을 위한 핵심역량모형을 검토한다.
셋째, 학생들의 역량을 진단할 수 있는 수단인 역량중심면접(Competency-based Interview, 이하 CBI로 약칭) 기법의 활용가능성을 점검한다.
'경영 이야기 > 교육을 생각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게 우리 교육계의 현주소다 (0) | 2014.12.19 |
---|---|
영재교육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다브로프스키(Dabrowski) (22) | 2014.11.19 |
역량중심의 면접(2)_역량 개념의 고찰 (7) | 2011.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