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의 기록/노무현의 죽음에 대하여

노무현_자신을 패배시킴으로써 부활하는 아름다운 영혼

죄수 두 명과 함께 예수가 십자가에서 처형되는 장면이 성경에는 자세히 묘사되어 있습니다. 로마 병사 둘이서 예수가 걸쳤던 옷을 제비뽑기로 나누어 가졌습니다. 그리고는 예수가 죽었는지 옆구리를 창으로 찔러보았습니다.

 

예수는 십자가에 못박힌 채 다음과 같이 기도합니다.

아버지여 저들을 용서하소서. 그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알지 못하나이다.”

 
내가 성경을 읽으면서 곤란을 겪은 가장 힘든 구절 중에 하나입니다. 모르고 범한 죄는 용서해야 하는가? 그리고 모르고 지은 죄는 용서받을 수 있다는 말인가? 왜 예수는 자기를 죽인 저들을 용서해야 한다고 했을까? 자신을 해코지한 사람을 어떻게 용서하란 말인가? 예수의 뜻을 따르는 기독교인들은 정말 그렇게 살아가는가?

 

합리적인 교육을 받은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한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요즘 누가의 기록(누가복음 2334)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인간은 죽음 앞에서 아름다운 영혼으로 변하는 것 같습니다. 모든 것을 놓아버리는 순간 깨어있는 마음(mindfulness)을 갖게 되고, 그 다음부터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보게 됩니다. 사람 지나가는 것을 마치 처음 본 것처럼, “저기 사람이 지나가네!”라고 신기해 합니다. 매일 보던 풀 한 포기가 새롭게 보입니다. 이마에 스치는 바람결이 여느 때와는 다르게 느껴집니다. 삶과 죽음의 경계가 의미 없어집니다. 아무도 원망하지 말라고 부탁합니다. 완전히 다른 사람으로 거듭나게 됩니다.


아름다운 영혼은 부활한다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의 관심사는 인간의 정신이 역사에서 어떻게 드러나는가에 있었습니다. 한편으로는 죽음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노동으로 드러난다고 생각했습니다. 죽음의 문제는 하이데거에게로 이어졌고, 노동의 문제는 마르크스(Karl Marx)에게로 이어졌습니다.

 

오늘 나는 죽음의 문제를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하이데거는, 인간은 매 순간 죽음을 향하여 나아가는 존재라고 생각했습니다. 죽음을 미리 앞당겨서 현재화함으로써 매 순간의 삶이 거룩해질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지젝은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헤겔의) 『정신현상학』의 아름다운 영혼의 변증법이 주는 교훈이 있다. “아름다운 영혼은 끊임없이 자신을 희생자로 내몬 가혹한 세상의 조건들, 즉 자신의 선한 의도가 실현되는 것을 방해하는 조건들을 비탄해 하지 않는다. …… 나는 져야 하되 호된 시련에 부딪쳐야 한다는 것, 왜냐하면 그것이야말로 나의 적을 고발한 내가 옳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슬라보예 지젝, 박정수 옮김, 그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알지 못하나이다, 인간사랑 2004, 240~241)

 

그렇습니다. 노무현은 자기 자신을 스스로 패배시키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그는 일생 동안 스스로 패배하는 길을 선택했던 사람입니다. 그가 활용했던 최후의 수단도 자기 자신을 패배시키는 방식이었습니다.

 

우리는 이 방식으로 궁극적 승리를 쟁취한 수많은 인물들을 봅니다. 소크라테스가 그랬고, 예수도 그랬습니다. 임금의 칼에 죽느니 적장의 칼에 죽겠다던 이순신이 그랬고, 무장해제한 채 영국군에 맞섰던 간디도 그랬습니다. 비열하고도 폭압적인 권력 앞에 구차한 변명을 하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이런 삶은 인류의 정신 속에 부활했습니다. 노무현은 우리의 정신 속에서 그렇게 부활할 것입니다.

 

 

p.s 이 글을 쓰면서 나는 왜 이렇게 눈물이 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 개명한 세상에 이토록 비열하고도 폭압적인 권력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그리고 그런 권력에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고 있다는 사실에 나는 책을 온전히 읽을 수도, 글을 제대로 쓸 수도 없습니다. 마음의 평정을 잡을 수 없군요. 내 아버지의 죽음 앞에서도 그렇게 서럽지 않았는데, …… 오늘은 글을 더 이상 쓸 수가 없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