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브레이크아웃 세미나 현재의 상황에서 탈출하려면, 발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분노, 슬픔, 증오 등과 같은 부정적 정서는 우리의 몸에 질병을 가져다 주며, 무능감, 절망감, 두려움 등과 같은 제한적 신념은 일에 대한 의욕을 상실케 하여 성과를 낮추게 합니다. 이것은 우리의 심신을 괴롭힙니다. 심신의 취약함은 더 낮은 성과를 내게 하고, 낮은 성과는 더욱 심신의 허약함으로 나타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됩니다. 이러한 몸과 마음의 고통은, 우리의 무의식적인 자동프로그램이 양자적 전환(quantum change)을 요구하는 강력한 외침입니다. 발상의 전환은 뭔가의 자극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미 마음 속에 있는 방아쇠를 누군가가 당겨줄 때 변화가 시작됩니다. 스스로 방아쇠를 당기거나 다른 누군가가 방아쇠를 당겨주길 원하.. 더보기
코칭 및 자문 한두 번의 컨설팅을 받았다고 해서 기업의 장기적인 발전이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경영자와 간부들의 끊임없는 자기혁신을 추구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영혼의 울림이 있는 교육과 자문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과정을 자기 혼자 하기는 어렵습니다. 근육을 단련할 때 전문적인 트레이너의 도움 없이 혼자 하는 것이 그리 큰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처럼 전문가로부터 중장기적인 코칭 및 자문을 받으면, 매우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심신의 변화를 이룰 수 있고, 나아가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대학/대학원 및 기업체 강의주제 대학/대학원 강의 - 인적자원관리론(Human Resource Management) - 리더십개발론(Executive Leadership Development) - 경영리더십의 이해(Understanding Leadership) - 마음과 경영(Mind and Management) - 인사조직 최근 주제연구(Current Topics in Personnel Management) 기업체에서 강의했던 주요 주제 - 비전수립의 이론과 실제 - 성과주의적 직무인식 - 마음을 사로잡는 경영은 가능한가 - 감성리더십과 진정한 리더의 조건 - 마음과 경영 - 셀프 리더십 - 그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알지 못하나이다 - 효율적인 팀의 중요성과 리딩(leading)의 노하우 - 리더십과 인력개발 -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더보기
마인드 프로그램 마음은 의식적인 부분과 무의식적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분노, 기쁨, 슬픔 등과 같은 마음의 상태는 의식보다는 무의식(잠재의식)에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무의식(잠재의식)은 마음의 심연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마음의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그것에 부합하도록 리더십을 발휘하는 방법과 기술을 배워야 합니다. 마음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맞닥뜨리면 자동적으로 어떤 반응, 즉 분노, 기쁨, 슬픔 등과 같은 마음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무의식에서 자동화된 마음의 프로그램(mind program) 때문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습니다.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조합인데, 컴퓨터는 프로그램의 종류와 특성, 그리고 그 질적 수준에 따라 다른 결과물을 산출해 냅니다. 마음의 세계도 이와 같습니다. .. 더보기
리더십 리더가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있어 비전, 전략, 조직, 성과, 역량, 인사의 여섯 가지 개념을 반드시 체계화함으로써 이론으로뿐만 아니라 현실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습득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론을 활용하여 조직구성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이 곧 리더십입니다. 마음의 작용원리를 잘 이해한다면 리더는 자신이 활용하는 이론적 수단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됩니다. 마음은 신비한 영역입니다. 뇌 과학의 발전으로 인간의 마음과 뇌가 상호작용하는 것도 알게 되었고, 그래서 우리는 마음과 몸의 상관성이 매우 깊다는 것도 상당한 수준으로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엄청난 잠재력을 발휘하는 마음과 뇌의 작동원리에 부합하는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면, 조직의 성과는 크게 향상될 것입니다. 더보기
인사관리 “성과에 따른 보상, 역량에 따른 선발”이라는 원칙을 지키기 위해 세심한 인사관리가 필요합니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이 있습니다. 인사가 만사가 되려면, 인사가 공정하고 투명해야 합니다. 그래야 신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인사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 공정성과 투명성입니다. 인사업무를 집행할 때 공정해야 투명할 수 있고, 투명해야 공정해집니다.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절차의 정립은 살아 움직이는 조직문화 또는 비전/목적/방향을 지향하는 조직풍토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더보기
역량관리 조직의 성과는 조직구성원들의 역량에 달려 있습니다. 역량은 우수한 성과창출의 원인이 되는 내적 속성을 말합니다. 일부에서는 역량을 바람직한 행동패턴으로 이해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행동은 행동일 뿐 역량이 아닙니다. 역량은 바람직한 행동을 일으키는 무의식적인 마음의 작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직무수행에 필요한 역량요소와 그 수준을 정의한 것을 역량모형(competency model)이라고 합니다. 조직구성원들은 역량모형에 비추어 자신의 보유역량이 어느 수준인지를 진단하여 어느 역량을 어디까지 개발해야 할지를 알게 됩니다. 여기에는 경영학의 인사조직분야뿐만 아니라 인접학문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를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전문적으로 역량을 평가하려면 상당한 공부와 훈련을 거쳐야 합니다. 역량평가(c.. 더보기
성과관리 비전, 목적, 방향이 정립되고 조직이 구조화되고 난 후에는 조직운영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은 성과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정의하는 것입니다. 성과지표(indicator)가 아니라 성과(performance)를 정의하는 것입니다. 좀더 정확하게 말하면 산출물(output) 또는 최종성과(outcome)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성과(成果)라는 용어는 자원의 투입과 변용과정, 그리고 결과물에 이르는 전체 과정을 일컫는 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성과와 성과지표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성과지표가 곧 성과가 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대개의 경우 성과지표는 성과의 한 부분만을 가리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성과지표가 아닌 성과를 정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어렵고 논란이 많은 작업입니다. 그래서 성과관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