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사로잡힌 영혼 몇 년 전에 읽은 감동적인 책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Marcel Reich-Ranicki, 1920~)라는 희한한 이름의 독일 문학평론가를 알게 된 것은 우연이었습니다. 신문에서 그의 자서전이 베스트셀러의 자리를 오랫동안 유지하고 있다는 기사를 보고, 그의 책을 주문해서 읽었습니다. 자서전이 장기간 베스트셀러의 지위를 얻기는 힘든 일인데, 이 책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사로잡힌 영혼』, 정인수 서유정 옮김, 빗살무늬 2002] 우선 나치 시대상에서 오는 체험을 잔잔하지만 박진감 넘치게 서술하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폴란드계 유대인으로서 독일로 넘어와서 고통을 받던 이야기, 문학에 대한 인연과 열정, 여인들과의 사랑이야기, 독일문학을 비평하던 이야기, 비평으로만 밥 먹고 .. 더보기
인간은 실존한다 ‘나는 누구인가’의 정체성에 관한 물음은 관계 속에서만 결정됩니다. 관계는 존재의 본질적 속성을 무엇으로 인식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내가 지금 오른손에 칼을 잡고 있다고 칩시다. 왼손에 사과가 있다면, 오른손의 칼이 무엇을 뜻할지는 뻔합니다. 누구나 내가 과일을 깎으려고 한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그러나 왼팔로 한 남자의 목을 움켜쥐고 있다면 오른손의 칼은 무엇이 될까요? 살인무기가 됩니다. 이렇듯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사물과 현상은 관계 속에서만 그 본질을 드러냅니다. 칼은 장인(匠人)의 영감에 의해 종이나 과일을 자르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사르트르(Jean-Paul Sartre, 1905~1980)가 직접 말했듯이, 칼에 있어서는 본질(라틴어로 essentia), 즉 과일 깎는 칼을 생산.. 더보기
비전(vision)수립 경영 리더십과 비전, 그리고 자아 나는 (leadership)이란 "비전(vision)을 향하여 시스템(system)을 정비하고 인재(talent)를 확보하는 것"이라고 정의합니다. 이런 정의를 한 마디로 말하면, 리더십이란 시스템을 정비하고 인재를 확보하는 것인데, 여기에는 반드시 비전을 전제로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비전이 없이는 시스템 정비도 인재확보도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비전이야말로 리더십을 가능케 하는 출발점이 되는 셈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지도자들이 뚜렷한 비전도, 합의된 방향도 없이 시스템을 설계하고 좋은 인재를 확보해야 한다고 야단법석을 떱니다. 물론 비전이 없이도 시스템을 정비하고 인재를 확보할 수는 있지만, 조직이 원하는 방향으로 결코 나아갈 수 없습니다. 비전은 .. 더보기
인사말 _ 천천히 그러나 확실히! 천천히, 그러나 확실히! 성경은 흰머리카락이 지혜의 상징이라고 했는데, 흰머리는 많은데도 지혜롭지 못하니, 성경의 말씀이 잘못된 것인지 내가 잘못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흰머리가 머리를 뒤덮으면서 지혜란, 사람에 대한 사랑과 애정의 감정일 것이라는 생각을 희미하게나마 했습니다. 호감을 열정으로, 열정을 종속으로 변화시키는 극단적인 감정을 우리는 사랑이라고 부른다. 이는 한 개인을 도취상태로 몰입시키면서 때로는 당사자, 즉 사랑에 빠진 자의 이성적 판단능력을 제한한다. 사랑은 아픔을 낳는 행복이며,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 아픔이다. 독일의 위대한 문학평론가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Marcel Reich-Ranicki, 1920~2013)의 자서전을 읽다가 사랑의 정의를 한 문장으로 압축한 대목을 발견했습니다.. 더보기
<술 먹는 사회>에서 <책 읽는 사회>로 지난 여름 휴가를 다녀온 이후에 처음으로 주말에 2박3일간(2008.10.24~26) 여행을 다녀 왔습니다. 충남 태안군 안면도에 위치한 드르니오션리조트(www.deureuni.com)에서 보냈습니다. 소나무 숲에다 아름다운 통나무집을 지어서 펜션처럼 운영되는 곳입니다. 1만3천 평의 해안가 언덕에 지어서 양쪽으로 바다가 보입니다. 영어교육회사인 하이잉글리시(www.hienglish.com) 제이윤 사장의 도움으로 그곳에서 지낼 수 있었습니다. 라는 통나무집에서 잤는데 아래층은 온돌난방이 되지만, 이층에는 전기장판으로 난방을 합니다. 뜨끈하게 잘 잤습니다. 이번에 가져간 책은 두 권이었습니다. 엘렌 랑어, 이양원 옮김, 『마음챙김』(Mindfulness), 동인 2008 데보라 프라이스, 진우기 옮김, .. 더보기
조직이란 무엇인가 '조직이란 무엇이다'라고 많은 학자들이 정의해 놓았지만, 여느 개념정의와 마찬가지로 조직에 관한 정의도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직을 보는 관점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게 정의하기 때문입니다. 정의마다 각각 나름대로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내가 내리는 정의 또한 완벽하지는 않겠지만, 앞으로의 지속적인 논의를 위해서 우선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관점에서 조직을 정의해 두고자 합니다. 정태적 관점 : 원하는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협동체계 동태적 관점 : 행위영역의 선상황적(先狀況的) 규정화 (praesituative Regelung der Aktionsfelder) 조직이란 여러 사람이 모인 하나의 개념적 실체(conceptual entity)인데, 이것이 어떻게 유기적인 움직임을 통해 성과를.. 더보기
위치와 연락처 최동석인사조직연구소 www.mindprogram.co.kr 이메일: tschoe56@naver.com 페이스북: www.facebook.com/dongseok.tschoe 더보기
철학으로 일군 자본주의, 워렌 버핏 월 스트리트에서 큰(富)를 이룬 사람들은 많습니다. 하지만, 월 스트리트와는 담을 쌓고 살았던 워렌 버핏의 성공은 연구해볼 가치가 있습니다. 나는 워렌 버핏의 성공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원리에 근거한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자신의 일을 즐겼다는 것인데, 이것은 그 무엇보다 중요한 원리입니다. 무엇을 위해서 일하는 것이 아니라, 일 그 자체가 곧 일하게 하는 원천이 되기 때문입니다. 둘째, 자신만의 철학을 정립하여 그것을 일관되게 실천했다는 점입니다. 자신의 일을 항상 즐거워했기 때문에 그 일을 평생토록 해왔고, 그래서 큰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는 점은 에서 다루었으므로, 이번에는 두 번째 원리인 자신만의 철학을 정립하여 일관되게 실천해 왔다는 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워렌 버핏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