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재전쟁(17/20) 인재와 보상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앞서 말한 대로 사고력과 실행력을 갖추어야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인간과 조직에 관한 올바른 가치관이 깔려 있어야 합니다. 인간을 영혼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려는 실존적 존재로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 인간들의 공동체가 곧 조직이며, 조직은 구성원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수단이라는 사실을 명확히 인식해야 합니다. 이런 전제하에 자신이 맡은 일을 즐길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이런 사람이 펀드매니저라면, 그는 투자자의 각종 리스크를 안전하게 헤징해주는 안전한 자산관리자로서 수호천사가 될 것이며, 환경미화원이라면 그의 오른손에 든 빗자루는 지구를 깨끗하게 하는 거룩한 도구가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누가 더 가치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월 스트리트의 경영진.. 더보기 인재전쟁(16/20) 그렇다면, 인재를 양육하는 방법은 없는 건가요? 프로그램을 통해 인재를 만들 수 없습니다. 인재는 자신의 잠재력을 마음껏 발휘하는 사람입니다. 아인슈타인을 보세요. 아무도 그를 어떤 프로그램에 집어 넣어 만들어내지 않았습니다. 스스로의 내적 성찰을 통해, 내면의 자기(self)를 찾아 영혼의 능력을 발견하고 그 능력을 발휘한 것입니다. 그래서 인재를 양육하려고 하지 말고, 인재의 잠재력이 폭발할 수 있도록 여러 제도적 장치를 정비하여 조직풍토와 문화를 바꿔줘야 합니다. 경영진이 해야 할 일은 그것입니다. 재능을 활용하고, 잠재력을 끌어낸다는 말은 무슨 뜻이냐 하면, 자신의 재능이나 잠재력을 일에서 활용할 때, 누구나 행복감을 느낍니다. 그래서 인간의 행복을 추구하려는 본능에 따라 그 재능과 잠재력을 지속.. 더보기 인재전쟁(15/20) 그렇다면, 인재란 무엇이고, 그런 인재를 양육할 수 있을까요? 인재는 자신의 잠재력을 폭발적으로 드러내게 되어있습니다. 인재는 인위적으로 양육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아인슈타인 같은 인물은 돈을 쏟아 부어 만들어진 인공물이 아닙니다. 인재는 어떤 사람의 아이디어에 의해 인위적인 프로그램으로 생산되지 않습니다. 영혼의 능력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어떤 사람이 자신이 원하는 인재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는 신의 위치에 올라선 사람입니다. 위험한 생각이지요. 다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그 인재가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풍토를 만들어주는 것이 전부입니다. 어떤 사람이 성과를 높이 내지 못해서 인재가 아닌 것처럼 보인다면, 그는 인사배치가 잘못 되었을 가능성이 많습니.. 더보기 인재전쟁(14/20)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채용 그 순간부터 핵심인재를 선별하고, 집중 투자한다고 합니다. 효율성이 높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이것의 문제는 없습니까? 기업들이 이런 방식으로 일을 하기 때문에 사회전체가 붕~ 떠있는 느낌을 받습니다. 조용한 내적 성찰이 결여되어 있습니다. 영혼의 능력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그 능력은 어떤 연수프로그램에 의해 발휘되는 것이 아닙니다. 인재들을 핵심인재로 분류해서 투자하는 행태는 인간에 대한 효용가치에 의해 등급화하는 것인데, 이런 투자는 인간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학생들이 핵심인재로 자신을 포장하기 위해서 봉사활동과 무보수 인턴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토익 점수를 높이기 위해 수 차례 시험을 반복해서 보고 있습니다. 이렇게 인간의 타고난 본성을 거슬러서 자신을 외적 환경.. 더보기 인재전쟁(13/20) 인재를 뽑는 구체적인 경험이 있는지요? 동료 인터뷰, 상사 인터뷰, 상사의 상사 인터뷰 등을 통해 뽑는 자리에 적합한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서 Background Screening을 합니다. 지난 6년간의 주요 활용내용을 시간 순서대로 빠짐없이 기록해서 제출하면, 그 기록이 사실인지 여부를 HR Consulting Firm에서 실제로 확인합니다. 그렇게 인재를 선발하기 때문에, 학력을 위조한 동국대 신정아 교수와 같은 사건은 발생할 수가 없죠. 이런 배경조사를 상세히 하는 것은 태도와 행동의 재현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더보기 인재전쟁(12/20) 이전에는 기업이 일방적으로 채용의 칼자루를 쥐었다면, 요즘은 능력 있는 인재들이 기업을 고릅니다. 기업은 어떻게 바뀌어야 한다고 보십니까? 갑과 을이 사실상 바뀌었습니다. 당연한 현상입니다. 기업은 인재들이 곧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러니까 제대로 된 경영자라면, 그런 인재들을 확보하기 위해 스스로 을의 위치로 내려 앉게 되는 것이지요. 그래서, 기업은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첫째, 필요로 하는 인재상 또는 인재프로파일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인재상에 부합하는 재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둘째, 지원자들을 투명하게 뽑을 수 있는 메커니즘을 확보해야 합니다. 학교성적이나 I.Q보다는 역량중심의 선발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 더보기 인재전쟁(11/20) 어떤 기업이 ‘인재를 위해서는 얼마든지 지불할 수 있다’고 한다면, 구체적으로 무엇에 힘을 써야 할까요?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말은 그 기업이 이미 고용관련 기업이미지 또는 고용브랜드(employment brand)가 매우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조직풍토 내지 기업문화를 바꾸는 일을 먼저 해야 합니다. 조직풍토나 기업문화가 좋지 않은 기업에는 인재들이 오래 남아 있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사고력과 실행력이 출중한 인재들의 경우에는 옥죄는 문화를 좋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고용브랜드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인재를 확보해도 오래 견디지 못할 것입니다. 조직풍토와 기업문화를 바꾸면,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좋은 인재들이 문을 두드릴 것입니다. 글로벌하게 영업을 .. 더보기 인재전쟁(10/20) 인재의 올바른 가치관이란 어떤 것인가요? 문제는 이런 지식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를 기르려면, 필요한 지식에 대해 가르치고 훈련을 시키면 어느 정도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실하고 정직한 역량(integrity)을 가진 전문가를 찾는 것은 정말 어렵지요. 그래서 인재전쟁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무리 전문성을 갖췄다 해도 올바른 가치관에 바탕을 두지 않으면 오히려 더 큰 사회적 문제를 일으킵니다. 올바른 가치관이 없으면, 엔론과 리만브라더스처럼 됩니다. 올바른 가치관이란 인간에 대한 전제가 옳아야 합니다. 인간이란 영혼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 실존적 존재라는 사실을 깊이 이해하고 몸소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여기서 실존적 존재란 무한한 선택대안 중에서 자신이 책임질 수 있는 선택을 .. 더보기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