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용산참사의 교훈_공론의 장을 만들어야 나한테 남아 있는 유일한 것은 곧 나를 잘 써먹어야 한다는 책임의식이다. 우리의 임무는 망가진 세상을 고치는 것이다. 그것을 못하는 종교는 쓸모가 없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 필요한 것은 믿음도 아니고 확신도 아니다. 나의 적을 포함해서 모든 인간이 거룩한 가치를 지닌 존재라는 사실을 분명히 밝히고 또 거기에 부응하여 행동하려는 마음가짐이다. 911테러는 나의 삶을 또 한 번 바꾸어놓았다. … 나는 상원의원, 하원의원, 국무부 직원과 대화를 나누었고 유엔에서도 강연을 했다. 나는 이것을 목회의 한 형식이라고 생각한다. 9월 참사는 계시였다. 늘 거기 있었지만 우리가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했던 사실, 곧 세상은 하나라는 현실을 일깨워주었다. (마음의 진보, 카렌 암스트롱, 이희재 옮김, 교양인 2006, .. 더보기 마음이란 무엇인가(4)_心身의 일체성 지난 이야기 마음이란 무엇인가(1)_마음에의 관심 마음이란 무엇인가(2)_마음과 몸은 하나, 그 경험적 증거 마음이란 무엇인가(3)_무의식적 마음의 위력 마음(mind)과 몸(body)이 하나라는 사실은 서양의학계의 과학적 노력을 통해 더욱 분명해졌습니다. 특히 하버드 의대 심장전문의 허버트 벤슨(Herbert Benson, 1935~) 교수는 『마음으로 몸을 다스려라』에서 “이완반응”(Relaxation Response)이라는 개념을 소개하고 몸과 마음을 이완함으로써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벤슨 교수의 저작은 우리나라에 많이 번역 소개되었습니다. 어떤 것이라도 읽으면 몸과 마음의 일체성에 관한 과학적 증거들을 확인하고, 그가 제안하는 방법을 따라 한다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 더보기 용산사태의 본질과 일차원적 인간들 가정해 보겠습니다. 민자로 건설한 도로가 부실하게 설계돼서 그곳을 지날 때 크고 작은 사고가 잇따랐습니다. 주민들은 행정당국에 도로를 고쳐달라고 애원했지만, 관료들은 민간업자와 도로이용자 사이에서 해결할 문제라고 발을 뺐습니다. 그렇게 얼마를 지내다가, 이번에는 과속으로 달리던 버스가 사고지역에서 전복되었습니다. 여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그러자 책임 있는 당국자가 나타나서 이번 참사를 계기로 교통법규를 위반하는 일이 더 이상 없었으면 한다는 발표를 했습니다. 뭐가 좀 이상하지 않습니까? 비슷한 일이 용산에서 발생했습니다. 재개발지역 철거민들의 농성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6명이나 사망하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졌습니다.(2009.1.20) 현장의 끔찍함은 보도를 통해 잘 알려졌습니다. 무슨 대변인이 높.. 더보기 마음이란 무엇인가(3)_무의식적 마음의 위력 지난 이야기 마음이란 무엇인가(1)_마음에의 관심 마음이란 무엇인가(2)_마음과 몸은 하나, 그 경험적 증거 업무상의 스트레스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업적을 다그치는 상사인가? 아니면 인간관계를 제대로 맺지 못해서 오는 갈등인가? 내가 무능하기 때문인가? 조직문화가 나에게 부적합하기 때문인가? 나는 분명히 알고 싶었고 또한 알아야 했습니다. 그래서 정신분석학에서부터 행동주의 심리학까지 다시 훑어보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을 통해 인간의 무의식에 접근하는 방식이 확실해졌습니다. 그동안 내가 간과했던 것은 무의식이었습니다. 무의식적 마음이 인간의 심연에서 솟아오르고 있는데, 그것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억누르고 있었으니, 여러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났던 것입니다. 내가 .. 더보기 마음이란 무엇인가(2)_마음과 몸은 하나, 그 경험적 증거 지난 이야기 마음이란 무엇인가(1)_마음에의 관심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는 길은 그리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나는 여러 문헌을 통해 몸과 마음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음을 어렴풋이나마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나의 지식을 실무에 전혀 적용하지 못했습니다. 길버트 라일이 지적한 대로 사실을 아는 것(knowing that)과 방법을 아는 것(knowing how)의 차이에서 오는 불완전한 이해였기 때문이었습니다.(길버트 라일(Gilbert Ryle), 이한우 옮김, 『마음의 개념』(The Concept of Mind), 문예출판사 1994, 34~39쪽 참조.) 그러나, 나는 결정적인 체험을 통해서 비로소 확신하게 되었고 실천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여기서 나의 체험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나.. 더보기 마음이란 무엇인가(1)_마음에의 관심 마음이 조직설계의 전제가 되어야 한다는 얘기는 에서 이미 다루었습니다. 이번에는 마음에 대해 조금 더 살펴보고 경영에 필요한 마음 상태는 어떤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마음의 문제는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마음은 오랫동안 철학자들의 관심사항이기도 했고, 최근에는 신경생리학자나 분자생물학자들이 특히 뇌과학(brain science)의 영역을 새롭게 열어서 마음의 문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들보다 직접적으로 관련을 맺고 마음이 자신의 고유한 연구영역이라고 생각하는 분야는 역시 심리학입니다. 정신분석학에서부터 인지심리학에 이르기까지 심리학자들은 마음과 행동의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상행동에 대한 치료뿐만 아니라 정상행동의 강화에도 심대한 영향을 끼쳐 학교교육의 방향을 긍정적으로 바꾸어 놓기도 합.. 더보기 조직이란 무엇인가(8)_마음, 조직설계의 전제 지난 이야기 조직이란 무엇인가(1)_조직의 일반적 정의 조직이란 무엇인가(2)_제1세대 경영학 조직이란 무엇인가(3)_제2세대 경영학 조직이란 무엇인가(4)_조직의 목적은 고객창조인가 조직이란 무엇인가(5)_제3세대 경영학(Wholism) 조직이란 무엇인가(6)_연결되어 있음(connectedness) 조직이란 무엇인가(7)_제3세대 조직설계와 마음 제3세대 경영학에서는 조직을 인간의 마음에 기초하여 설계해야 합니다. 인간의 마음에서 모든 것이 창조되기 때문입니다. 제1,2세대 경영학은 이윤최대화를 위한 당근과 채찍의 원리로 조직을 설계해 왔습니다. 이런 방식은 조직구성원의 잠재력을 고갈시킬 뿐입니다. 『맹자』 공손추(公孫丑) 상(上)편에 다음과 같은 예화가 나옵니다. “송나라 사람 중에 벼 싹이 자라지.. 더보기 조직이란 무엇인가(7)_제3세대 조직설계와 마음 지난 이야기 조직이란 무엇인가(1)_조직의 일반적 정의 조직이란 무엇인가(2)_제1세대 경영학 조직이란 무엇인가(3)_제2세대 경영학 조직이란 무엇인가(4)_조직의 목적은 고객창조인가 조직이란 무엇인가(5)_제3세대 경영학(Wholism) 조직이란 무엇인가(6)_연결되어 있음(connectedness) 어떻게 하면, 제3세대의 조직설계가 가능할까요? 이것이 우리가 고민해야 할 과제입니다. 이 강좌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문제입니다.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경영을 위해서는 제3세대의 조직설계에 관한 기초적인 개념체계를 논의하고, 실무적으로 도움이 되는 해결책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앞서 영혼의 능력이란 바로 자신에게 내재된 정보와 에너지가 어떤 것인지를 찾아내는 능력이라고 했습니다. 이것은 인간의 마음에서 .. 더보기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