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경영이란 무엇인가(3)_효과성과 효율성 지난 이야기 경영이란 무엇인가(1)_경영의 기본전제 경영이란 무엇인가(2)_경제와 경영 경영을 얘기하려고 하는데, 왜 경제에 대해 언급하느냐 하면, 효과성(effectiveness)과 효율성(efficiency)의 개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어서입니다. 물론 사회에는 경제적 효율성(economic efficiency)도 필요하고, 조직에서도 경영적 효과성(managerial effectiveness)이 필요하긴 합니다. 그래서 경제든 경영이든 비용 대비 성과를 최대화하려는 노력은 자본주의 경제체제하에서 운명처럼 받아들여야 합니다. 하지만 경제에서는 효과(effectiveness)를 더 중시하고, 경영은 효율(efficiency)을 더 중시해야 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그래서 나는 이것을 경제적 .. 더보기
소비하라! 돈이 인간을 구원한다 나는 호롱불로 어둠을 밝히던 시골에서 자랐습니다. 어려서는 검은 고무신을 신고 학교를 다녔습니다. 고무신은 쉬 떨어질 뿐 아니라 발이 시커멓게 되는 게 흠이었습니다. 몇 달이 지나면 밑창에 구멍이 나서 비 오는 날에는 신을 벗고 다니는 게 더 나을 정도였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외할머니가 읍내에서 흰 고무신을 사 오셨는데, 나는 그 신을 신고 다닌 게 아니라 아끼느라 들고 다녔습니다. 지금 내 신발은 신발장에 차고 넘칩니다. 여러 켤레의 구두는 물론, 조깅화, 등산화까지 기능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현대인은 생활필수품도 고장이 나거나 못쓰게 돼서 바꾸지 않습니다. 유행이 지나면 바꿉니다. 내가 쓰는 휴대폰이 6년 된 것을 알면, 사람들이 이상하게 생각합니다. 공산품의 기능과 디자인을 바꾸는 주기가.. 더보기
트랜스크리틱_꼬뮨이 가능할까? 서구 계몽주의 사상가로서 이성 중심의 모더니즘을 가능케 했던 칸트와 서구적 공산주의 사회를 기획한 맑스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일본학자가 있습니다. 그는 인류공동체를 구현하려고 시도하는 사상가이기도 합니다. 그가 바로 가라타니 고진(柄谷行人, 1941~)입니다. 최근에 그의 책 『트랜스크리틱』(한길사 2005)을 읽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놀라운 구절이 있습니다. 다시 덧붙이자면, 상인자본이 공간적 가치 체계의 차이에서 잉여가치를 얻는 것에 비해, 산업자본은 시간적으로 서로 다른 체계를 만들어냄으로써 잉여가치를 얻는다. 그런데 잉여가치를 어디서 얻든 그것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 예컨대 19세기 영국의 산업자본은 독일에서 매입한 면을 기계로 생산하여 그것을 다시 독일로 수출함으로써 이윤을 얻었다. 그 잉여가.. 더보기
정체성의 뿌리 이정우 교수의 글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그래서 내 손에 가끔 그의 책이 들려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간의 얼굴』(민음사 1999)을 읽다가 밑줄을 치게 되었습니다. 그 내용을 여기에 인용합니다. 나는 누구인가 그리고 그 정체성은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사유할 수 있게 합니다. 거듭 말하지만, 욕구를 통해서 주체가 형성되고, 욕구는 능력을 열망하며, 능력은 권력을 통해 구체화된다. 그렇다면 근대적 주체는 어떤 욕구로부터 생성되었는가? …… 현대철학은 왜 이 근대적 주체 개념을 공격하는가? …… 욕구의 다양성, 자신의 욕구를 타자/타인들 사이에서 실행하려는 능력에의 의지, 능력을 구체화하려는 전략들의 배치인 권력 형태의 다양성(계급, 직업, 국가, 민족, 지위, 신분, 성별, 나이 등등), 이 다양성을.. 더보기
경영이란 무엇인가(2)_경제와 경영 지난 이야기 경영이란 무엇인가(1)_경영의 기본전제 앞서 말한 경영의 기본 전제 위에 경영학 또는 경영관리를 구축하려면 우선 경제(economy)의 개념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경제는 현대적 의미에서 보면 사람들에게 좀더 편하고 안락하게 해주는 그 무엇을 의미합니다. 여기에 더하여 여가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결국, 복지(welfare)를 증대시키는 것이 곧 경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복지를 증대시킨다는 것은 도대체 무슨 뜻인가? 복지가 증대되었는지는 무엇을 보면 알 수 있는가? 한 국가의 복지지표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것이 GNP 또는 GDP입니다. 생산을 얼마나 많이 했느냐의 척도를 말합니다. 그러나 거의 모든 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듯이 그것만으로 복지가 증대되었다고 보지는 않습.. 더보기
경영이란 무엇인가(1)_경영의 기본전제 우리는 경영을 계획(plan), 실행(do), 통제(see)의 과정으로 인식해 왔습니다. 경영관리 현상을 잘 살펴보면, 계획하고 실행해서 그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나타나는 것은 분명합니다. 모든 경영자들이 예외 없이 이런 과정을 거쳐서 경영을 해나가는 데, 어떤 조직은 큰 성과를 내고, 다른 조직은 형편없는 성과를 냅니다. 그 차이는 도대체 어디에서 오는 것인가에 경영학자들이 관심을 갖습니다. 형편없는 성과를 내는 조직에서도 미래를 예측하여 계획을 세웠고 그 계획대로 실행했을 뿐 아니라 그 결과에 대해서도 확인점검을 통한 피드백을 받고 있었습니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계획 실행 통제의 경영과정을 밟는 것은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래서 부실한 성과를 내는 조직은 경영과정의 질적 수준이 떨어지는 것으로.. 더보기
마음이란 무엇인가(9)_깨어있는 마음과 경영 지난 이야기 마음이란 무엇인가(1)_마음에의 관심 마음이란 무엇인가(2)_마음과 몸은 하나, 그 경험적 증거 마음이란 무엇인가(3)_무의식적 마음의 위력 마음이란 무엇인가(4)_心身의 일체성 마음이란 무엇인가(5)_영혼과 마음의 지향성 마음이란 무엇인가(6)_뇌와 마음, 그리고 실존과 경영 마음이란 무엇인가(7)_마음이해의 전제 마음이란 무엇인가(8)_마음의 작용원리 “마음을 사로잡는 경영”을 하려면, 마음의 삼층구조인 삼겹살, 즉 제도, 의식, 그리고 무의식을 어떻게 잘 활용할 것인가에 집중해야 합니다. 이것을 잘 활용하는 방법이 바로 경영입니다. 앞에서 경영이란 비전/목적/방향을 먼저 정한 후에,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조건을 정비하고, 그 조건에 부합하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는데,.. 더보기
마음이란 무엇인가(8)_마음의 작용원리 지난 이야기 마음이란 무엇인가(1)_마음에의 관심 마음이란 무엇인가(2)_마음과 몸은 하나, 그 경험적 증거 마음이란 무엇인가(3)_무의식적 마음의 위력 마음이란 무엇인가(4)_心身의 일체성 마음이란 무엇인가(5)_영혼과 마음의 지향성 마음이란 무엇인가(6)_뇌와 마음, 그리고 실존과 경영 마음이란 무엇인가(7)_마음이해의 전제 마음을 이해하는 4가지 전제는 단순하면서도 명료한 뜻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더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이러한 전제를 잘 살펴보면 조직 내의 인간사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문제는 결국 마음으로 귀결된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마음의 작용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서 인간의 실존성은 선택을 전제로 한다고 했습니다. 우리의 일상에서의 선택은 무한히 열려있습니다. 어떤 선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