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마음이란 무엇인가(7)_마음이해의 전제 지난 이야기 마음이란 무엇인가(1)_마음에의 관심 마음이란 무엇인가(2)_마음과 몸은 하나, 그 경험적 증거 마음이란 무엇인가(3)_무의식적 마음의 위력 마음이란 무엇인가(4)_心身의 일체성 마음이란 무엇인가(5)_영혼과 마음의 지향성 마음이란 무엇인가(6)_뇌와 마음, 그리고 실존과 경영 인간의 실존적 상황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음이해를 위한 기본전제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나는 그것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정리합니다. ① 인간은 자신의 마음을 통제할 수 있다. ② 인간의 마음은 자신이 원하는 데로 가게 하는 지도(map) 또는 내비게이터(navigator)와 같다. ③ 인간의 행동에는 긍정적인 의도가 숨어있다. ④ 인간은 자신이 직면한 이슈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더보기
용산참사_도대체 국가란 무엇인가 내 이웃집에서 발생한 용산참사를 보면서, 인간존엄에 대해 한두 꼭지의 글을 써야겠다고 마음먹었는데, 벌써 여섯 번째가 되었습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국가의 개념에 대해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인간존엄의 근거는 신학적 사유와 철학적 사유로부터 도출됨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인간존엄은, 강자와 약자의 관계에서, 강자가 약자에 대한 일방적인 배려를 통해서만 표출된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습니다. 역사를 통해서 강자가 약자를 지배하려고 마음을 먹는 순간 인간존엄은 순식간에 사라지게 된다는 점도 살펴보았습니다. 그래서 강자가 약자를 배려하지 않으면 안 되도록 하기 위해 근대적 의미의 국가라는 개념이 탄생하게 됩니다. 국가는 인간을 위해 존재합니다. 인간은 세 차원에서, 즉 사물과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 그리고 자기자신.. 더보기
영국여행 이야기(4)_뮤지컬 라이온 킹 다음날 딸은 나를 또 일으켜 세웠습니다. 이번에는 런던 북쪽에 있는 캠든(Camden)의 재래시장을 꼭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카나리 워프와는 완전히 다른 세계여서 볼만한 게 많다고 합니다. 런던의 서북부에 위치한 캠든까지 지하철로 가서 걸어 다니기로 했습니다. 서울 남대문 시장과 같은 곳이었습니다. 사람 사는 데는 다 비슷한가 봅니다. 씨끌벅적하고 애교 넘치는 짝퉁들이 즐비하게 있습니다. 오리지날을 그대로 복사하는 불법 짝퉁이 아니라 위트가 넘치는 짝퉁들입니다. 활기찬 Puma상표는 의식을 잃은 Coma상태로, iPod은 iPood로, 새출발을 의미하는 결혼식 상표는 game over로, National Geographic은 National Pornographic으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펑크머리의 진수.. 더보기
용산사태_인간의 존엄성은 어떻게 표출되는가 인간존엄의 근거는 에서 이미 언급했습니다. 이제 인간이 존엄하다는 사실이 우리의 구체적인 삶에서 어떤 방식으로 표출될 수 있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미리 언급하자면, 나는 법학자나 법률가가 아닙니다. 경영학을 공부한 사람으로서 지극히 실용적인 사고가 몸에 밴 사람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나의 글이 형이상학적인 개념들을 건드리더라도 그것은 현실적인 유용성 때문이라는 점을 이해해 주었으면 합니다. 인간의 존엄성은 영혼을 가진 인간의 고유한 인격(Persönlichkeit)에서 우러나옵니다. 그렇다면 인격이란 무엇인가? 삶의 구체적 현실에서 경험하는 모든 형태의 관계(Beziehung)는 인격을 표출합니다. 관계가 곧 인격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내가 만약 아내가 만들어준 반찬에 투정을 .. 더보기
용산사태_인간의 존엄성은 어디에 있는가 용산사태_인간의 존엄성은 어디에 있는가 용산사태를 보면서 나는 참담함을 느꼈습니다. 내가 늘 지나다니던 건물에서 참사가 일어났기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내 연구실에서 빤히 내려다 보이는 건물입니다. 그날, 그러니까 2009년 1월 20일 새벽녘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의 한 건물 옥상망루에서 집단으로 농성하던 철거민들이 화염 속에 사라지는 것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존엄성도 화염과 함께 사라졌습니다. 인간의 존엄성의 근거 우리나라 헌법 제10조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있습니다.“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 독일의 기본법 제1조 1항은 다음과 같습니다.“인간의 존엄은 침해될 수.. 더보기
마음이란 무엇인가(6)_뇌와 마음, 그리고 실존과 경영 지난 이야기 마음이란 무엇인가(1)_마음에의 관심 마음이란 무엇인가(2)_마음과 몸은 하나, 그 경험적 증거 마음이란 무엇인가(3)_무의식적 마음의 위력 마음이란 무엇인가(4)_心身의 일체성 마음이란 무엇인가(5)_영혼과 마음의 지향성 마음과 몸의 문제 또는 정신과 뇌의 문제는 서로 떼어내서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이 아닙니다. 두 개의 서로 다른 것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도 아닙니다. 역사적으로 인류가 물질의 뇌와 정신의 마음으로 나누어서 보게 된 것은 인간의 뇌의 작용원리에 대해서 잘 몰랐기 때문입니다. 그 동안 뇌과학의 발전으로 인간에게 몸과 마음이라는 두 개의 현상이 별개로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과학적 성과를 무시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몸과 마음이 분리될 수 없는 .. 더보기
용산철거민 사태에서 배워야 할 것 우리나라는 선진국 클럽인 OECD에 가입한 국가입니다. 이들 선진국 중에서 건강한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나라는 일인당 GDP가 큰 부자나라가 아닙니다. 스웨덴, 핀란드와 같은, 부자와 가난한 자의 소득격차가 낮은 나라입니다. 경제적 불평등은 사회응집력을 낮추고 갈등을 심화시킵니다. 건강하고 평등한 사회는 사회응집력이 높아서 평화롭게 인간적인 삶을 누립니다. 사회적 효율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런 사회일수록 공동체생활이 활발하고, 불평등으로부터 오는 폐해가 별로 없습니다. 공적인 생활뿐만 아니라 사생활에서도 큰 스트레스와 갈등을 겪지 않습니다. 정부의 공공서비스는 오히려 시민들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넓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지금 빈부격차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 이런데 관심을 가진 사람들끼리.. 더보기
마음이란 무엇인가(5)_영혼과 마음의 지향성 지난 이야기 마음이란 무엇인가(1)_마음에의 관심 마음이란 무엇인가(2)_마음과 몸은 하나, 그 경험적 증거 마음이란 무엇인가(3)_무의식적 마음의 위력 마음이란 무엇인가(4)_心身의 일체성 과학자들은 대개 요소환원주의적 입장에서 사물을 보기 때문에 마음이니 정신이니 영혼이니 하는 말들은 실증할 수 없는 공허한 관념에 불과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인류학자 그레고리 베잇슨(Gregory Bateson, 1904~1980)의 말대로 많은 과학자들이 인과관계의 빈약한 모델인 논리 속에 빠져 있는지도 모릅니다.(그레고리 베잇슨, 박지동 옮김, 『정신과 자연』(Mind and Nature), 까치 1990, 77~79쪽.) 그들 역시 보이지도 않고 실증할 수도 없는 것은 그냥 없는 것이라고 믿기 때문입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