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어떻게 이런 인간을... [어떻게 이런 인간을...] 투표할 때 한 인간의 실체가 이렇다는 사실을 정말 몰랐을까? MB를 대통령으로 뽑아야 하는, 투표하는 마음은 진실했을 것이다. 그런 마음은 어디서 온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샐러리맨들의 신화를 창조한 사람이라는 이미지였을 것이다. 그런 이미지형성은 광고선전에 기인한다. 광고선전은 대부분,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사태를 왜곡하여 보여준다. 투표하는 사람은 이런 이미지와 포장지에 속지 않아야 한다. 속지 않으려면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있어야 한다. 우리가 MB를 대통령으로 뽑은 것은 그의 이미지에 속았기 때문이다. 결국은 지식의 결핍 때문이었다. 구약성서의 호세아 선지자가 말했듯이, 내 백성이 지식이 없어서 망하는 꼴이 되었다. 인간의 속성은 변하지 않는다는 사.. 더보기 철학적 사유와 시스템적 치유(1) 철학적 사유와 시스템적 치유(1) 시작하며 2014년 한 해는 주로 경영학을 위한 철학적 사유를 주제로 강연해왔다. 금년 한 해는 주로 철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경영을 시스템적으로 치유하는 방법을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2015년 2월 4일(수)~5일(목) 1박2일간 대우조선해양 신임 수석위원들과 함께 『인간존중의 리더십 - 철학적 사유와 시스템적 치유』라는 주제로 워크숍을 진행했다. 경영에 관한 철학적 사유의 핵심은, 인간은 영혼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려는 실존적 존재라고 이해한다는 점이다. 진선미(眞善美)를 분별하여 실천하려는 정신적 토대가 인간에게 생명이 있음을 알려준다. 이런 생명은 인간이 자기 자신에 대해 반성적 성찰을 하도록 인도한다. 쇠얀 키에르케고르의 말대로 인간은 정신이고 자기다. 자기는.. 더보기 홍명보 vs 슈틸리케 슈틸리케의 말, "한국 축구의 문제점 하나만 얘기하고 싶다. 대다수 선수들이 학교에서 축구를 배운다. 그런데 학교에서는 선수들에게 승리하는 법을 가르칠 뿐 축구를 즐기는 법을 가르치지 않는다." 그렇다. 축구에서만 그런 게 아니다. 일하는 것 자체를 즐기는 법을 배우지 못한다. 슈틸리케도 역시 히딩크와 거의 같은 얘기를 하고 있다. 승리하는 게 중요하지 않다는 말이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이 하는 일을 즐거워해야 한다. 그 일이 좋아야 스스로 학습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승리는 그런 학습의 결과일 뿐이다. 슈틸리케가 히딩크와 같은 패러다임에 속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첫째, 선수를 철저하게 역량중심으로 선발한다는 점이다. 의리와 연줄을 배제하고 체력과 기량에 의해 선발한다.둘째, 선수들을 철저하.. 더보기 사회적 계층이동이 불가능한 사회에서... 일인당 소득이 2만달러를 넘어서면서 점차 계급이동이 불가능한 사회로 전환된다. 5년 전 서울대 커뮤니티 예언글이라고 하던데, 몇 달 전 SNS에서 널리 퍼졌던 것이다. 그런 현상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205774 다음의 책도 계급이동 현상을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된다. 이 책의 저자는 교육을 통해 계급이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고 있으나, 교육 자체가 계급화 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그런 해결책도 별로 효과를 볼 수 없다. 안타까운 일이다. 더보기 달려오는 미래,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 인터뷰 링크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1/16/2015011601199.html 더보기 홍명보 vs 슈틸리케 어느 불로거의 평가를 한번 보자. 홍명보와 슈틸리케는 무엇이 다른가? 리더십의 차이라고 할 수 있을까?링크(어느 블로그와 한국일보 기사)http://blog.daum.net/seaoflee/1440 http://hankookilbo.com/v/2cb36dd9dd7543e1bd92e5d2bfd90043 더보기 성과급이 문제를 일으키는 이유 금전적 보상에 대한 이슈는 미국사회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해되고 있는 사안이다. 다니엘 핑크가 아주 설득력있게 설명하고 있다. "어떤 사태에 돈이 유의미하게 개입되면 그 사태의 진실은 왜곡된다." 이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더보기 돈은 인간의 동기를 감소시킨다_Alfie Kohn on Opra 돈과 관련된 상식 중에서 보상은 우리의 일반적 상식과 과학적 사실 사이에 아주 큰 갭이 있다. 교육학자 알피 콘이 오프라 윈프리 쇼에서 과학적 사실을 설명하고 있다... "어떤 사태에 돈이 의미있게 개입하면 사태의 진실은 왜곡된다" 더보기 이전 1 ··· 5 6 7 8 9 10 11 ··· 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