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결혼식에 늦은 이유 어제(2008.12.06) 육촌 형님의 딸이 결혼했습니다. 결혼식에 참석하려고 12시에 도착해서 보니, 이미 예식이 끝나고 피로연을 하고 있었습니다. 황당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나는 분명히 오후 1시에 예식이 진행되는 줄 알고, 조금 일찍 도착해서 친척들과 인사를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한 시간 전에 도착하도록 계획을 세웠었습니다. 그리고는 12시에 도착했습니다. 그런데 예식이 벌써 끝난 것입니다. 청첩장을 다시 보니, 아뿔사 오전 11시로 적혀 있었습니다. 나는 왜 오후1시로 기억하고 있었을까? 사연은 이렇습니다. 2주전 형님의 아들 결혼식에서 만났던 친척들이 뒤풀이를 겸해서 저녁식사를 함께 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좌장격인 사촌형님이 다다음주 결혼식이 끝나고 나면 뒤풀이를 용산에서 하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 더보기 유대인들의 "듣는 문화"와 상상력 비전(vision)은 미래에 대한 상상력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서구문명에서 상상력을 가장 잘 발휘하는 민족은 아마도 유대인일 것입니다. 단순한 상상이 아니라 추상에 가까운 상상력이라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좀더 정확히 말하면 추상적 사고력(abstraction thinking)이라는 용어가 더 적합할 것입니다. 창조적 전문가들에게 필요로 하는 추상적 사고력이 유대인들에게 유독 뛰어난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 인구의 2%내외에 불과한 유대인들이 아이비 리그라고 불리는 일류대학교수들의 30%를 차지하고 있고, 미국 전체 부의 약 40%를 좌지우지한다고 합니다. 전세계 인구의 0.2%에 불과한데도 역대 노벨상 수상자의 15%가 유대인이랍니다. 유대기독교적인 종교적 영향은 차치하더라도 인류에 가장 많은 영향.. 더보기 욕망하는 인간 인간의 욕망과 비전 인간은 욕망하는 존재입니다. 어떤 사람은 너무 큰 욕망에 사로잡혀서 스스로 파멸에 이르고, 어떤 사람은 너무 적은 욕망으로 자신의 잠재력을 썩힙니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누구나 미래에 더 좋은 상태를 욕망합니다. 그 욕망을 드러내는 방식에 의해서 성공과 실패, 행복과 불행이 결정됩니다. 이 욕망이 미래를 향하여 구체화 된 상태가 곧 비전(vision)입니다. 미래를 상상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할지 모르지만, 이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미래를 상상하는 것은 끊임없는 훈련을 통해 가능해집니다. 물론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개의 경우에는 미래를 상상하는 훈련을 해야 합니다. 상상의 뇌에서 일어나는 아주 독특한 기능입니다. 어린 아이에게.. 더보기 꿈꾸는 인생_사랑의 꼬뮨을 실현하다 내가 지난 여름 영국에 있는 브루더호프(Bruderhof) 다벨공동체(Darvell Community)를 방문했을 때, 그들의 무소유의 신념, 봉사와 희생정신에 기반한 내면의 아름다움, 공동체 마을에 깃든 평화로운 아우라(aura)와 자연스럽게 화음으로 퍼지는 찬양은 나를 감동케 했습니다. 그런 공동체 내에서 처참하고도 엄청난 사건들이 있었다니 믿어지지 않습니다. 끊임없는 배신, 권모술수와 권력투쟁, 사선을 넘나드는 아픔과 육체의 질병, 질병으로 인한 죽음과 씻기 어려운 마음의 상처, 그리고 용서, 사랑과 평화… 내가 눈물이 많은 사람은 아닌데도, 눈물 없이는 읽을 수 없었습니다. 인간의 가장 저열한 행태에서부터 가장 숭고한 용서와 사랑의 행위까지 드라마처럼 펼쳐집니다. 어린 아이들이 제대로 된 의료혜택.. 더보기 위기극복을 위한 마음경영_Johnson & Johnson Medical Korea 지난달 Johnson & Johnson Medical Korea(JJMK)의 임원들을 대상으로 조촐한 특강시간을 가졌습니다. 우리가 이미 잘 알고 있듯이, 존슨앤존슨은 세계적으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중의 하나입니다. 나는 그런 기업에 초대되어 강의할 수 있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하면서 최대한 간단하고 명확한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인간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기본으로 돌아가서 경영해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였습니다. ① 연결되어 있음(connectedness) ② 깨어있는 마음(mindfulness) 이 두 가지가 전제되어야 요즘 같은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진정한 변화를 시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이 경제적 위기에 대처하는 방식은 다양합니다. 임직원들을 대거 잘라냄으로써 .. 더보기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개요 연구소에서 제공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학습영역으로는 기초개념, 성과관리, 역량관리, 마인드 프로그램 등 네 가지이며, 학습수준에 따라 언더스탠더(Understander), 프랙티셔너(Practitioner), 그리고 트레이너(Trainer)의 3단계로 구분합니다. (다음의 를 다운받아서 그림을 보면서 이 글을 읽으시면 도움이 됩니다.) 기초개념 기초개념은 인간, 조직, 마음, 경영을 다룹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에 대한 이해입니다. 인간이해의 출발점은 “조직구성원으로서의 인간을 무엇으로 볼 것인가”입니다. 미국의 주류경영학은 인간을 자원(resource)로 봅니다. 그래서 인적자원(human resource)이라고 합니다. 줄여서 HR이라고 부릅니다. 어떤 곳에서.. 더보기 리더십 교육_서울대병원과 서울대 의대 중진교수 지난주 금요일(11월 28일) 서울대병원과 서울대 의대 중진교수 리더십 교육을 위해 “리더십과 성과책임”이라는 주제의 강의겸 워크샵을 진행했습니다. 조교수 5년 이상 ~ 부교수 3년 이하의 중진교수 26명이 참석했습니다. 의료시장의 개방에 대비하여 우리나라 의료업계가 어떻게 경쟁력을 갖출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한 교육훈련프로그램이었습니다. 참석한 교수들 대부분 진지한 모습이었습니다. 의대 교수들은 삼중고에 시달리기 때문인가 봅니다. 학생들 잘 가르쳐야지, 연구성과 잘 내야지, 환자진료 잘 해서 만족도 높여야지... 분초를 아껴서 교육, 연구, 진료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야 합니다. 일반 학과와는 다른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단박에 알 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이 2박3일이라는 긴 시간을.. 더보기 인재전쟁_경영자의 짧은 수명에 대하여 미국에서는 CEO의 평균 수명이 약 18개월이고, 한국에서도 4년 안팎이라고 합니다. 중간관리자들도 이직률이 높습니다. 바람직한 것입니까? 자세한 내용은 에 있습니다. 이 영상은 인터뷰과정을 개인 캠코더로 찍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영상보다는 인터뷰내용에 주목해 주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이전 1 ··· 52 53 54 55 56 57 58 ··· 62 다음